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꿀곡우마입니다~
2주차 강의 후기 작성합니다.
BM Point가 굉장히 많았던 강의였습니다.
부끄럽게도, 당연히 아는 것들이라 생각하면서 필기 없이 듣고 있다가 '내가 놓치는 부분이 이렇게 많았구나' 생각이 확 들고 반성했습니다.
기초가 탄탄해야 흔들림 없이 임장과 임보에 그리고 나의 투자 결정에 더 확신을 가질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오늘은 BM Point위주로 강의 후기를 적어보려고 합니다.
1.단지 루트 그릴 때 로드뷰까지 활용하기
보틀넥: 사실 그동안 단지만 찍는 정도로 임장 루트를 그렸습니다. 어차피 현장에 가면 길은 어떻게든 찾겠지 하는 마음으로요! 하면서도 살짝 찝찝한 느낌은 있었지만 귀찮이즘이 더 컸던 거 같습니다.
막상 현장에 가면 아파트 단지들이 연결되어 있는지 몰라 헤매면서 시간을 좀 빼앗았던 거 같습니다.
벤치마팅: 로드뷰를 통해서 사전에 더 철저한 준비를 해야겠습니다. 더 효율적인 루트를 그림으로써 시간을 확보하고 계획했던 임장 루트 및 시간 내에 끝내겠습니다.
2.좋은/나쁜 입지 & 신축/구축
보틀넥: 그동안 아파트 시세를 기계적으로 분석했던 거 같습니다. 물론 각 지역 지도에 가격을 입히면서 어디 생활권이 비싸고 저렴한지 파악은 할 수 있었으나, 다른지역의 아파트 간의 직관적인 비교는 어려웠습니다.
벤치마킹: 한 눈에 보기 편하게 입지와 연식을 4분면으로 나누어 아파트를 비교하고자 합니다. 특히 중소도시는 입지보다 환경과 신축이 중요하다는데, 해당 표를 통해서 검증하고, 가격이 안 따라주는 신축이 있는지, 혹은 비교적 구축이 있는지 등 분석하며 투자 매물을 결정해야겠습니다.
3.GRDP 확인하기
*GRDP란?
지역내총생산입니다. 즉, 일정기간동안 정해진 경제구역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격 합입니다.
보틀넥: 임장보고서에 지역내총생산까지 넣어야 할까라는 귀찮음+게으름으로 그동안 넣고 있지 않았습니다.
벤치마킹: GRDP는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일수록 높아지는데요, 그래서 현차가 있는 울산과 SK,LG가 있는 청주에서 비교적 높은 수치가 나옵니다. 해당 그래프를 통해 임장 지역이 어떤 양적/질적 직장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람들의 구매력을 파악할 수 있기에, 집값이 상승해도 거주민들이 감당할 수 있는지, 어디까지 상승할 수 있는지 유추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 풍부한 임장보고서를 위해 이번 임보에서 추가적으로 넣고자 합니다.
4.지도 one page로 정리하기
보틀넥: 임장보고서에 각 직장부터 교통까지 입지분석을 하고, 시세분석과 단지분석을 다 해도 한번에 머리에 들어오지 않아 페이지를 왔다갔다 하곤 했습니다. 앞마당으로 만들고 몇 달 후 다시 페이지를 찾는데 번거로움도 있었습니다.
벤치마킹: 핵심 입지 요소와 시세를 지도 한 곳에 입히면, 한 눈에 중요 정보들이 들어와 내용 상기도 잘 되겠죠?
그렇게 해당 지역이 왜 그 가격으로 형성되어있는지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시세트래킹 하다가 좀 가격이 낮은 매물이 보이면 바로 캐치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을 거 같습니다.
벤치마킹 포인트가 꽤나 밀도가 있어서 많아 보입니다..!
다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ㅎㅎ 늦더라도 하나씩 하나씩 제 이번 임장보고서와 투자에 임하는 태도에 녹이도록 하겠습니다. 하루하루 성장하는 투자자가 되기 위해 파이팅하겠습니다!
.
.
.
번외로,
강의에서 C지역을 다루어주셨는데, 가격이 많이 탐나더라구요. 앞마당이 많은자가 유리하다.
다시 한번 느끼는 강의였습니다.
댓글
"강의후기 작성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투자를 위한 시간 화이팅입니다 ♡♡ 여러분이 뭘 하든 인생은 계속된다."" 시작의 기술 -게리 비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