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동하는 투자자가 되고픈 레이니J입니다.
지방투자실전반 4강은
항상 명강의를 펼쳐주시는 게리롱님이 강의해주셨습니다.
투자로 이어지는 핵심 과정을 담아주셨는데요,
바로 비교평가와 시세 관련한 내용을 다뤄주셨습니다.
두가지 모두 너무 중요하지만 참 어려운 파트인데요,
게리롱님 강의를 레버리지하여 투자까지 꼭 이어나가보겠습니다!
중요하고 꼭 적용해보고 싶은 내용 위주로
복습하며 후기 시작할게요!
비교평가의 정석, 가치대비 싼 것
투자를 검토하려고 보니,
앞마당을 늘려만 왔지, 제대로 된 비교평가를 해보자니
너무 어려웠습니다 (ㅜㅜ)
그동안 제가 해 온 앞마당 만든 과정이 조금 허무하기도 하고
허탈하기도 했습니다. 주륵..
그런데 강의를 들으며 제가 어려웠던 이유,
잘못하고 있었던 부분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면 안되는 것을 제가 다 하고 있더라고요..^^;
[ 하면 안되는 비교평가 ]
비교평가라는 작업이 어려웠기에
아주 간편한 툴인 전고점 대비 하락율로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곤 했는데요,
실전반을 수강하며 깨달은 것은
그렇게 하면 안된다는 것..!
진짜 투자해보신 분들은 전고점이 아니라
가격고정, 가치고정하여
‘가치 대비 싼’ 물건을 찾아서
저평가 판단을 내리셨다는 것입니다.
게리롱님도 전고점을 통해 저평가를 판단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사례를 들어 알려주셨습니다.
지난 상승장때는 전고점이라는 정답지(?)가 없다보니
그렇게 저평가를 판단하지 않았고 그렇게 할 수도 없어서
가치 대비 싼 것을 찾아 투자하셨다고 합니다.
이것이 정석인 것을
왜 그렇게 돌아가려 했을까요..!
그리고 제가 바교평가가 어려웠던 이유는 바로…
급지와 평형이 다른 지역을 한꺼번에 비교하려 했던 것입니다.
그러니 어려울 수 밖에 없었지요 ㅜㅜ
튜터님께서는 이 행위를..
마치 뷔페에서 여러 음식 중 제일 좋은 것 하나만 뽑아라!
하는 것과 같다고 비유 해주셨습니다.
(역시 눈높이 교육, 비유 장인 롱튜터님..❤)
음식 고르는 것조차 이렇게 한번에 하려니 어려울 수 밖에 없더라고요.
투자금을 바로 넣는 행동도
비교평가에서는 들어가면 안되는 요소였습니다.
순서가 틀렸던 것이죠.
가치 대비 싼 것, 가격과 가치로 저평가를 판단한 후에
투자금을 보는 것이었습니다.
이제는 조금 어렵더라도,
정석으로 비교평가를 해보겠습니다.
—
[ 비교평가 적용하기 ]
투자로 연결되는 시세 보는 법
고정된 가치에 비해
살아움직이는 시세는
우리가 투자할 가격이기에
예의주시 해야하는 부분인데요,
계속 바뀌다보니
조사하는데에 품이들어
습관화하지 않으면 파악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번 지투실전을 하면서
서킬스 조장님과 함께 임장할 수 있었는데요!
조장님은
여기 단지가 얼마네?
그럼 내가 알고있는 0억대 단지는 이게이게 있어요 ~
여기가 더 좋은거 같아요!
라고 하시더라고요..? 0.0
놀래버린 저…
조장님은 어떻게 그렇게 바로 알고 있는
단지들이 바로 떠오를까 궁금하고 신기하기도 하고
저도 저렇게 하고 싶고.. 그랬습니다 ㅎㅎ
게리롱님은 어떻게 하면 그렇게 될 수 있는지 알려주셨습니다.
한달 동안 열심히 만든 내 앞마당에서
투자 기회를 잡기 위한 세가지 방법!
1번 시세트래킹은 게리롱 튜터님이
양식을 배포해주신 덕에 (시세 아버지..✨)
아마 다들 하고 계실텐데요,
이 툴을 활용해
시세 그룹핑을 할 수 있는 법이 엄청난 팁이었습니다!
가로 양식을 세로 양식으로 변환해서
가격대별로 캡쳐하여 사진첩에 저장해두는 것이지요.
단지 임장을 하면서, 이 단지와 비슷한 가격대를 가진
내 앞마당의 단지들을 캡쳐화면에서 찾아본다면
우리 멋진 서킬스 조장님처럼
‘이 단지와 앞마당의 이 단지들이 가격대가 같네?’
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트래킹 양식을 이렇게도 쓸 수 있다니요…!
시버지님 정말 감사합니다.
이 방법은 꼭 적용해보겠습니다!!
[ 시세로 앞마당 단지 가격 익히기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