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평가의 기본 원칙
수강생의 4대 고민.. 저 또한 그 중 한명이고 투자하고 싶은데 안보이네.. 라는 생각을
많이 했는데요, 튜터님께서 비교평가에 대한 개념 및 프로세스, 예시를 통해 적용하는 방법을 보여주셨습니다.
신축인 경우 전고점만으로 가치 판단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더더욱 어려웠습니다.
결국 비교가 어려웠던 것은 제가 단지의 가치 판단을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가치를 파악한 후에 저평가를 판단하는 것이 비교평가의 본질임을 강조하셨습니다.
또한, 저는 단지를 판단할 때 생활권의 비중을 좀 크게 생각했고 단지의 개별 가치에는 덜 집중했던 것 같습니다.
지방의 특징 상 생활권 순서가 단지의 선호가 아니기 때문에, 개별 단지의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함을
배웠습니다. 앞으로 이 단지는 그래도 A생활권이잖아? 라고 생각 할 것이 아니라,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에
더 집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가치대로 가격이 나열될 때에는, 이 가격차이가 적정한가를 먼저 생각하고 그래프로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저평가를 파악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이 많이 부족했음을 느꼈습니다.
지역 간 비교평가
도.생.단.을 비교! 도시의 범위(?) 생활권 선호가 촘촘한가, 아닌가를 따져보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동안 단순히 도시의 규모로만 비교했고 A도시의 범위를 생각해보는 것이 빠졌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쉽지 않지만 앞으로 도시 간 비교를 할 때 이점을 꼭 유념해서 평가해야겠습니다.
1등 뽑기
1등 뽑기란? “나에게 맞는” 1등을 뽑는 것.
강의를 듣고 튜터님, 조장님, 조원분들 도움을 받아 이번에 처음으로 1등을 뽑아봤습니다.
그동안은 단지분석 하다가 임보를 덮어버리니, 1등 뽑기가 너무 막막하여 해보질 않았는데요,
중소도시 앞마당 전수조사를 하고 내 상황에 맞는 1등 뽑기를 해보고 나니, 앞으로는 매달
꼭! 1등 뽑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름 재미도 있었습니다.ㅎㅎ
그리고 어제 최종 튜터링을 하고 강의를 쓰는 지금 .. 이번 상반기 안에 2호기를 해야겠다는 결심을 했습니다.
오랜시간 투자에 꼭 필요한 내용을 강의해주신 튜터님 감사합니다. !!
댓글
바니1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