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하집사] 부동산 트렌드 2025 독서 후기

  • 25.02.06

돈버는 독서모임 - 부동산 트렌드 2025 (25.2)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외 / 와이즈맵

읽은 날짜 :  2025. 02. 05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슈퍼사이클 #골든크로스 #대세상승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5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김경민 - 하버드대 도시계획,부동산 연구 박사학위. 서울대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 재직중. 글로벌 부동산 연구.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 분석, 글로벌 오피스 비교, 공공민간 협동 개발 등이 주요 연구 분야. 부동산트렌드 시리즈 4년째 펴냄. 

 

 

2. 내용 및 줄거리

 : 22년 부동산 대폭락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은 회복-침체-급반등의 혼란의 시기를 보내고 있음. 저자는 2025년 부동산 시장에서 서울 아파트는 슈퍼사이클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 인플레이션, PF사태 연장, 공급위기, 금리인하 요인을 들며 대세상승하여 서울 많은 지역이 전고점 뛰어넘고 상승할 것이라 봄. 23년 직전 고점 돌파 N파고는 물론, 21~22년의 역대 최고점 돌파하는 W파고를 보이는건 시간문제. 강남 같은 지역에서의 상승 기운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 전반적 부동산 가격 상승 예고.  + 핫플, 상권 트렌드, 전세사기 이슈 원인과 해결방안 정리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전문가가 부동산 시장 흐름을 예측할 때 어떤 데이터로 어떻게 해석하고 있으며 어떤 근거를 들고 있는지 알 수 있었음.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저자의 연구실에서 AI기반으로 부동산 가격지수를 개발하여 주식시장에서나 통용되던 단지 장기 이동평균선을 적용해서 분석한 점이 흥미로웠음. 과거의 대세폭등시점과 대폭락 시점을 정확히 도출한 데이터가 24년 초 골든크로스를 보이며 슈퍼사이클이 시작됨을 알 수 있다는데, 장기간, 폭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음.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인 변동은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우상향하는 것은 자본주의에서 당연한 흐름인데, 이것을 트렌드 분석이라고 할 수 있는건가? 싶은 생각도 들었는데..  어쨌든 25년도에 한정해서 여러가지 요인들을 근거로하여 어떤 요인이 어떻게 움직이면 어떻게 흘러갈지 시나리오 정리를 해준 느낌. 

서울 아파트 시장을 강남3구의 고가 시장과 노도성(노원구, 도봉구, 성북구)의 중저가 시장으로 구분했는데, 이 둘을 합치면 서울시 전체 세대수의 절반 가까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어서.. 반마당인 송파구와 하다만 성북구를 보완하면 좋겠다는 생각도 하게됨ㅎㅎ

그리고 공급 부족을 엄청 강조 강조 해서 강의때도 많이 듣긴 했었지만 전문가는 공급 부족을 아주 심각하게 보는구나 새삼 다시한번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나라 뿐 아니라 다른 세계 도시들에서도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월세 시장 움직임이 폭등하는 흐름을 보인다는 것과 글로벌 주택 시장도 상승 흐름이구나. 다시한번 인플레 헷지를 위해서라도 부동산은 중요하겠다는 걸 느낌.

 

 


댓글


토레스
25. 02. 07. 12:11

집사님 바쁜와중에 독서도 하시고 대단하십니다👍 공급부족 강조하는데 빨리 1호기 해야겠어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