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환수원리에 대하여 여태까지 배워왔던 것에  더하여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해 주셔서 초보자인 나도 확실한 기준을 

  정할 수  있을 것 같다. 

 - 저평가 :  전고점 대비 기준으로만 보려고 했으나 전고점을 넘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 때 어떻게 할 것인가?

 - 환금성 :  매도시점에도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물건인가?

 -수익성 : 적절한 투자금을 들이더라도 싼 구간에 사서 충분한 수익을 낼 수 있는가?

 - 원금보존 : 전세가는 매매가의 하방지지선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세가율 높은 건 좋지만 지나치게 높은 전세가율, 

   인근의 과도한 공급 여부는  확인했으며 감당 가능한가?

- 리스크 :  리스크가 있더라도 감당할 수 있고 리스크보다 수익이 큰가?

 

*투자를 잘하는 사람의 실전투자 프로세스

  - 내 상황에 맞는 가치있는 물건을 장바구니에 넣어두고 계속 관찰하다 핫딜 뜨면 용기내서 매수하고 마지막까지 협상       해서 더 싸게 매수한다.

 

*투자를 잘하기 위해서 반드시 복기가 필요하다.

 - 투자 끝낸 후 투자한 시점의 상황과 결정한 이유를 상세하게 기록한다.

 - 매수 후 3개월, 1년, 2년후 내가 했던 결정과 투자의 결과를 확인해 본다. 

   복기를 꼼꼼하게 한 경험과 통찰력은 복기를 하지 않은 투자자와 엄청난 차이를 보일 것이다. 손실이 발생하지 않았더      라도 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 나에게 적용할 점

*독서가 중요한 걸 알았지만 항상 우선순위에서 밀렸는데 독강임투 모두 돈 그릇의 구성요소로 하나라도 놓치면 깨져서 

 샐 수 있기에 단단한 그릇으로 만들기 위해 독서계획을 세워 실천

*저환수원리를 나만의 키워드로 정리하고 복기하기

*적당한 몰입으로 기존의 일상을 유지하려 했지만 돌아올 수 있는 범위내에서 과몰입 경험 해보기

 

너무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담긴 게리롱님의 강의 감사드립니다.


댓글


키친user-level-chip
25. 02. 10. 22:06

서목님 강의 잘 듣고 정리도 깔끔하게 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