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독서후기 부동산 트렌드 2025

  • 25.02.07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읽은 날짜 :  2025.2.1~2.7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슈퍼사이클    #부동산전망    #공급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서울대학교 지리학 학사, UC 버클리 정보시스템 석사를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도시계획, 부동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스턴 소재의 상업용 부동산 리서치회사 PPR에서 오피스 가격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글로벌 부동산을 연구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빅테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분석, 글로벌 오피스 비교, 공공민간협동개발 등이다

지은 책으로는 빅데이터로 부동산 시장을 분석한 부동산 트렌드 시리즈와 부동산 메카트렌드2020, 도시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  도시개발 , 길을 잃다, 익선동의 가치를 재조명한 ‘리씽킹 서울’, 

북촌을 개발한 기농 정세권 선생을 다룬 ‘건축와, 경성을 만들다’ 등이 있다. 

조선일보에 월 1회 김경민의 부트캠프를 연재하고 있으며, <SBS 고양이를 부탁해>, MBC<손에 잡히는 경제플러스>, 

KBS<머니올라> 등 다양한 미디어에 컨트리뷰터로서 정기적으로 출연중이다,

김경민의 노트라는 유튜브 채널에서 부동산 트렌드에 관한 정보를 공유한다

 

2. 내용 및 줄거리

 PART1. 2024년 부동산 다시보기

2024년 부동산 시작은 예측보다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는  N자 반등 현상, 일부지역에서 가격 상승의 골든 크로스가 발생했다. 

금리인상과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매물부족과 대기 수요가 가격을 견인했다. 

수도권 외곽 지역과 지방 시장은 회복 속도가 다소 느렸다. 

국고채 금리 하락 시나리오

 

PART2. 빅테이터로 분석한 서울&전국 아파트

아파트 가격은 주식과 달러 한 방향으로 흐름이 정해지면 장기적으로 움직인다

강남, 분당, 수지 수도권 동남부 매매가격의 흐름 밀접한 관련

강남, 마포, 용산 등 인 기지역은 여전히 높은 수요유지, 경기인천 지역은 입주물량과 교통호재에 따라 차별화된 흐름

지방은 일부 반등조짐이 보이지만, 인구 감소 문제로 인한 약세

 

PART3. 2025년 부동산 투자 빅이슈 TOP6

슈퍼사이클 서울 아파트 대세 상승의 신호탄

인플레이션-부동산 상승의 기폭제

전세가격 폭등- 매매로의 전환을 이끌다

PF사태- 정책 실패와 최악의 공급부족

공급절벽- 정확히 얼마나 심각한가

퍼펙트 스톰-공급부족과 금리인하의 협공

 

PART4. 12개 대장 단지 상세 리포트

강남, 서초, 용산 등 전통적 부촌의 가격 상승세  유지, 마포 성동, 동작 등 신흥 인기지역 수요 강세

반면 송파, 노원, 강북 등 일부 지역 조정국면(24.7월) GTX개통과 교통호재 예정지역(왕십리, 하남, 남양주)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 전망

 

PART5. 2025년 부동산 가격 대예측

금리인하 기대감과 공급부족이 맞물려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지만 경기 침체와 정부정책 변수로 인해 시장변동성이  클 것으로예상

2025년 하반기부터 수도권 중심으로 매수세가 강해질 가능성, 지역별로 차별화된 가격흐름이 나타날 전망

 

PART6. 주목해야 할 핫 플레이스

GTX-A, B, C 노선이 지나는 지역(삼성, 의정부, 평택) 서울 도심재개발(한남, 흑석, 영등포), 3기 신도시(남양주, 하남, 부천) 등 투자유망지로 꼽힌다

또한 기업, 산업단지가 조성되는 지역(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청라국제도시)도 중장기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깨달은점

서울수도권시장의 방향성은 우상향

공급부족, PF대출연장으로 인한 사업적 어려움, 금리인하로 인한 주담대 수요, 빌라왕사기로 인한 빌라전세 기피현상 등 서울집값이 21년 전고점보다 올라갈수 밖에 없다

21년 대비 25~30% 떨어진 23년이 정말 바닥가격이었다는것을 깨달았고

23년에 서울 앞마당이 있었어야 했는데 너무 지방시장만 보고있어서 서울시장을 몰랐다는게 아쉬웠다.

이미 강남3구가 전고에 가까워질만큼 가격이 회복된 곳도 있만 4~5급지의 경우 비동조화로 그만큼 가격회복이 덜 된 곳들도 많을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


행복자유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