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재테크 기초반을 수강한 이유!!!!
[나에게 특히 인상 깊었던 점]
“내가 세상을 잘못 보고 있을 수도 있다”
월부에서 강의를 듣고 돈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며
가장 먼저 바꿔야 할 부분에 대해서 강의 초반에 말씀해 주신 것이 인상적이었다.
공부를 시작하기 전 무언가 이상하다라는 생각을 했고,
돈을 벌고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일부의 금수저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범하게 직장을 다니고 일을 한다.
다만 그렇게 똑같이 일을 하고 돈을 벌지만,
누군가는 부자가 되고 누군가는 생존에 대한 고민을 한다.
몇 십 년 동안 일을 하지만, 노후는 불안하다.
그 모든 원인은 내가 세상을 제대로 보고 있지 않은 것이고
실제 세상, 그리고 돈은 다른 원리로 작동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일을 하여 돈을 벌고, 그 돈을 잘 모아 자산을 사서,
돈이 일을 하게 만드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월부에서 강의를 듣고, 책을 읽으며 알게 되었다.
세상을 올바르게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내가 변화해야 하는 이유,
그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이번 강의를 통해
다시 한 번 리마인드 할 수 있게 되었다.
“부자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살아라”
너나위 님이 자녀에게 가장 해주고 싶은 말이다.
부자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산다면,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하게 된다.
무언가가 되기 위해선 어떤 것을 해야 할까?
역으로 생각하는 것의 중요성은 여러 책에서도 입증이 된다.
‘나는 나의 스무살을 존중한다’라는 책에서도
저자는 의대에 가기 위해 의사 가운을 입고 공부를 했다.
강의를 하시는 너나위 님도 역으로 생각하는 법을 알게 되면서
강사(선생), 저자, 유튜버로 성장하셨다고 하신다.
부자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살자.
그렇게 한다면,
이번 강의에서 나온 모든 것을 흡수할 수 있을 것이다.
[적용할 점]
“통장 쪼개기”
통장 쪼개기를 통해 소비를 통제하고 저축 금액을 명확히 하자.
지금까지 1년에 모을 수 있는 돈을 계산할 때
대략 이 정도는 되지 않을까?란 생각으로 계산했던 것 같다.
이 강의를 신청한 이유가 이렇게 대략적인 금액이 아닌,
정확한 금액을 체계적으로 모으려고 신청하였으니
이는 반드시 적용하고 과제를 완수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아직 과제 완수 전이긴 하지만
비율을 정하고 금액 배분을 해 놓았다.
실물 카드는 아직 도착하지 않았지만,
삼성페이를 통해서 활동비, 교육비 체크카드를 등록했고,
주거비, 고정비, 생활비, 투자 통장에는
체크카드를 신청하지 않았다.
신용카드 자르기도 반드시 해야 하지만,
현재 남은 신용카드는 영업직인 만큼 회사 비용에만 사용해야 하겠다.
영업 비용이 매월마다 다르고 이는 회사에서 익월 초에 돌려 받는 방식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활동비 통장에서 사용한다면 오히려 혼선이 올 수 있을 것 같다.
나만의 적절한 방식을 찾아 통장 쪼개기에 성공하여
체계적인 종잣돈을 모아가야 하겠다.
“베타 투자 병행”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가지고 있고 매월 납입하고 있지만
대출 이자 감면용으로 소액(5만원…)만 납입하고 있었다.
또한 미국 S&P 500 펀드에 50% 이상을 납입하고,
포트폴리오 재편 등은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다.
아직 어떤 포트폴리오로 진행할 지는 결정하지 못했으나,
2주차 광화문금융러님의 강의를 듣고 1회 재편을 해야겠다.
6개월 혹은 1년에 한 번씩 재편을 하면서
시장수익률을 추종하는 투자를 통해
노후를 대비하도록 해야 하겠다.
댓글
본능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