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출 종류별로 목표 금액 정하기
- 주거비: 정기적인 금액으로 수입의 12% 비중
- 교육비: 강의, 독서비. 아너스 쿠폰 활용으로 수입의 6% 지출로 사용 가능
- 비정기: 경조사 대비용. 줄일까 생각했었으나 경조사가 많은 나이대로 수입의 5% 설정
- 고정비: 교통비, 통신비, 보험료, 기부 = 기부는 나중에 하라고 하셨으나 사정이 있음. 고정비는 수입의 5% 통제
- 활동비: 수입의 14% 사용으로 통제 가능할 것으로 판단
= 12% + 6% + 5% + 5% + 14% = 42%
* 수입의 58% 저축이 가능한 상황!!
* 각 통장별 잔여 액수는 매월 말일 저축 통장으로 이월 할 것
#2. 수입의 58% 저축 활용 방법
- 주택청약: 현재 납입하고 있는 정액 납부
- IRP(연금저축): MAX로 하기에는 부동산 투자를 위한 종잣돈 부족. 우선 40만원으로 설정하며 지출에서 줄여보고 최종적으로 50만원으로 설정하는 것이 목표
- 대출원금: 담보 대출 원금 상환
- 잔여 금액 전체 종잣돈 통장으로 이동하여 부동산 투자에 활용
#3. 체크카드 연결 및 용도 인증
- 주거비: 체크카드 연결 필요 없음, 계좌 이체
- 교육비: 토스뱅크 활용, 체크카드 발급 완료!
- 비정기: 체크카드 연결 필요 없음, 필요 시 활동비 통장으로 이체하여 출금
- 고정비: 체크카드 연결 필요 없음, 자동 이체
- 활동비: 카카오뱅크 활용, 체크카드 발급 신청 = 실물은 다음 주 도착 예정, 삼성페이에 등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