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재테크 기초반 - 2025년 같은 월급으로도 쉽게 2배 모으는 방법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오랜만에 너나위님 강의 너무 재밌게 듣고 강의에서 들은 내용들은 모두 적용하려고 부지런하게 움직여보았다.
나의 우리의 소득을 어떻게 쓰고 있나!?
늘 찜찜했던 신용카드 내역을 날 잡아서 탈탈 털어보고 꼭 써야하는 금액을 추려놓으니 쓰지 않아도 될 금액을 얼마나 많이 써오면서 살았는지 알게 되었다.
내가 한달에 쓰는 지출 중에 고정으로 나가는 금액을 보니 보험료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0대초반에 계약한 것들이라 신랑도 나도 이미 낼대로 다 내고 납임기간이 몇년이 남지 않아서 해지하기도 애매하다. 종신은 왜 든거니 대체 -_-
현재 나는 체크카드만 사용하지만, 아이들 교육비가 많이 나가는 터라 매달 5만원씩 캐시백을 받고있는 신랑 신용카드까지 잘라버리진 못할 것 같다. 미련덩어리~~
신랑에겐 체크카드를 주고 신용카드는 즉시결제를 하는 방향으로 이용해야할 것 같다.
자차보험료, 경조사비, 병원비같은 갑작스럽게 들어가는 비용들이 생각보다 부담스러웠고, 1년에 두번있는 명절때마다 휘청휘청 했는데 미리 비정기금액을 모아놓으면 나중에 확실히 도움이 될 것 같다.
또 아이들 세뱃돈이나 용돈들이 모이면 생활비로 스윽 써왔는데 2강 강의까지 들은 후 포트폴리오를 이용해서 아이들 돈은 생활비와 종잣돈과는 열외로 꾸준히 모아놓고 나중에 대학교 등록금으로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머리가 크니까 민원이 폭팔해서 곤란했는데 좋은 시기에 좋은 강의를 알게된 것 같다.
월세환급에 대해서 조금만 빨리 들었다면..ㅠㅠ 무주택자는 월세도 연말정산 간소화에 쉽게 제출이 가능한 것 같았는데 유주택자는 받을 수 없다고해서 그런가보다..하고 있었다. 하지만 월세를 현금영수증 처리하면 집주인 동의없이 소득공제가 가능한 것을 알게되었고 그 과정에서 납입자 이름이 계약자 이름과 동일해야한다는 사실을 이제야 알았다. 다음달부터는 필히 신랑이름으로 이체하리라…ㅠ_ㅠ 아까운 내도온~
연말정산 시기가 올때마다 뚝딱이가 되서 간편내려받기만 휘리릭해서 냈었는데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특히나 40대가 넘어가다보니 연금저축은 세제혜택과 함께 길게 남지않은 노후기간을 버텨나갈 수 있는 힘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25년도엔 월세환급도 기필코 받으리라..
더 버는 것도 좋지만 세나가는 내 돈도 잘 챙겨야지.
신용카드를 쓰다보니 나중에 보면 배달비나 외식비로 무지 긁어놔서 깜짝깜짝 놀랐는데, 이번달 카드값 싹 정리하고 3월부터 시작해봐야겠다. 2강도 너무 기대된다.
나의 국장 비내리는 계좌를 어떻게 해야할지 알 수 있는 시간이 되길 i_i
아자아자 화이팅!!!
댓글
가그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