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세 구하는 중에 그날 본 집이 너무 맘에 들어 충동적으로 가계약금 300 만원을 걸고 돌아왔습니다.
잔금 일에 대출 상환 말소를 조건으로 진행 하기로 했는데, 매매도 아니고 전세를 융자 있는 집으로 들어가는 게 맞는 건지 불안한 마음이 듭니다.
전세금은 5억이고, 현재 이 집의 근저당 설정액은 최고 2억입니다.
부사님은 괜찮다고 하는데, 그래도 불안해서 진행하는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진행하지 않는다면 가계약금은 돌려받는 비법이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ㅠㅠㅠㅠ
다시 시간을 돌린다면 가계약 안걸었을것 같아요..
지금 넘 스트레스 받아서요
이게 다 무지해서 인 것 같습니다
꼭 좀 도움 말씀 부탁 드립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꾸디님 안녕하세요 :) 전셋집 근저당으로 인해 당황하셨겠어요! 근저당이 잡혀있어도 전세금보다 근저당이 작고, 특약으로 근저당 말소 조건으로 계약 한다면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단, 근저당이 있을 경우 보증보험 가입이 어려울 수 있으니 당일에 말소 여부를 확인하고 가입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관계자 분과 상담해보시길 바랍니다. 꾸디님 무사히 잘 입주하시길 바랍니다!
꾸디님 안녕하세요~! 딩동댕님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근저당이 있어도 전세 가격 보다 낮고 잔금일에 말소한다는 조건으로 했으니 크게 문제 없어보여요~ 잔금 당일에 꼭 부사님한테 근저당 말소됐는지 확인해달라고 말씀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럼 집주인 분께서 말소했다는 서류 보내주실겁니다. 빠이팅입니다!!
아고 꾸디님 안녕하세요~^^ 전세 가계약금을 보낸 상태에서 근저당이 걱정이 되셨나봐요 ㅠㅠ 먼저 근저당 설정된 집에 전세 들어가는 것은 신중해야 하는 게 맞습니다. 그러나, 현재 꾸니님의 상황을 보면 근저당이 2억, 전세금이 5억 정도로 선순위로 잡혀 있는 근저당보다 전세 보증금이 훨씬 큰 상태인데요. "잔금 지급과 동시에 근저당권 전액 말소" 조건을 특약에 추가하시고 그 조건으로 계약 진행하시면 됩니다. 잔금 전에, 근저당 말소가 확실하지 않으면 전세금 반환이 어려울 수 있어 진행하지 마시구요. 추가로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한지 사전에 확인도 해보셔요~! 근저당 말소가 확실하고, 전세보증보험도 가능하다면 계약 가능하니 화이팅입니다! 오늘은 일주일 시작의 월요일이에요~~ 꾸디님 많이 웃는 하루 보내셔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