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숑숑숑앤지 독서기록 #4] 원씽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3. 읽은 날짜: 2025.02.06~2025.02.09

4. 총점 (10점 만점): 10점

5. 위 점수를 준 이유 간략하게: 처음 독서를 했을 때, 책을 잘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다. 열중 강의를 들으면서, 투자하는 직장인의 삶이란 도미노를 쌓으면서 팽이를 돌리는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고, 책의 일부 내용을 강의에서 다루기도 했다. 책을 재독하면서 책의 내용을 보다 잘 이해하고자 했고, 책에서 말하는 원씽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새길 수 있었다. 많은 분들이 인생책이라고 하는 이유를 조금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Before reading: #목표 #집중 #단하나(원씽)

After reading: #단하나(원씽) #행동 #우선순위

 

STEP2. 책에서 본 것

The One thing: 자신의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 ‘단 하나’ 

“당신이 이번 주에 할 수 있는 일 중 다른 모든 일을 제쳐 두고서라도 꼭 해야 할 단 ‘한 가지 일’이 무엇입니까?

모든 일의 중요성이 같지 않다. 반드시 해야 하는 일에만 집중한다. 일의 가지수를 줄이는 ‘빼기’가 필요하다.

성공에 도미노 효과를 적용. 첫 도미노 조각을 찾고, 넘어질 때까지 ‘오랜 시간’ 내리친다. 성공은 연속해서 쌓인다. 단 한 번에 하나 씩이다.

‘단 하나’를 알고 일과 삶에 적용시키는 것 = 성공을 위해 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 현명한 일

[제1부. 거짓말: 의심해 봐야 할 성공에 관한 여섯 가지 믿음]

헛된 믿음과 거짓도 오랫동안 자주 쓰이면 어느 순간 진실처럼 들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잘못된 믿음 여섯 가지

1.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평등이란 거짓이다. 모든 일이 다 중요하지 않다.

바쁘게 움직이는 것이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으며, 무엇 때문에 바쁘게 움직이는지가 중요하다.

할 일 목록은 유용하긴 하지만, 동시에 사소하고 중요하지 않은 일들을 해내야 한다고 우리를 괴롭힌다.

할 일 목록 대신 성공 목록(잘 정돈된 지시사항)을 작성해라. 

#80/20법칙: 제대로 된 인풋 하나가 대다수의 아웃풋을 만든다. 선택적 노력이 거의 모든 성과를 창조한다.

20%만 남기고, 거기에서 다시 20%만 남기는 식으로 가장 중요한 단 하나에 이르기까지 계속해라.  

2. 멀티태스킹이 능력이다. 

‘멀티태스커들은 그저 모든 일에 엉망’이다. 멀티태스킹은 효율적/효과적이지 않다. 여러 일을 동시에 할 수는 있지만, 모든 일에 집중할 수 없다. 여러 일에 집중하면 그 중 하나도 잘할 수 없다. 

작업 전환에는 작업 복잡도에 따른 대가가 필요하다. 

3.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자기관리를 잘하는 것 같은 사람도, 몇 가지 바람직한 습관을 들여 확립 시킨 것. 성공한 사람은 옳은 일, 옳은 습관을 선택하고 필요한 만큼의 통제력을 갖는 것 (선택적 집중의 실천) 

습관을 만드는 것은 처음에 힘들지만, 유지하는 데는 에너지와 노력이 훨씬 덜 들어간다. 에너지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돌리고, 시간을 할애하고 통제력, 훈련을 통해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 잘 형성된 습관은 성공을 가져다주며, 다른 일들도 쉬워진다.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데 걸리는 시간, 66일

4.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의지력은 한정된 자원으로 잘 관리해야 한다. 가장 필요한 순간에 의지력을 써야 한다.

한 가지 일을 위해 의지력을 썼다면, 에너지를 충전하지 않는다면 다음 일을 할 때 의지력이 부족해진다. (잘 먹는 것도 성과 올리는 사람의 연료이다)

‘의지력에 대해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의지력을 잃는다.’ 의지력이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처리하고, 의식적으로 의지력을 보호해라.

5.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균형은 불가능하다. 중도적인 삶은 극단을 추구하지 않는다. 모든 일에 관심을 쏟으려 하다 보면 모든 일에 대한 노력이 부족해지고, 제대로 완수되는 일이 없다. 기적은 극단에서 일어난다. 본능적으로 성공은 능력의 한계 가장 바깥에 있다는 것을 알지만, ‘균형’이 무너지는 것에 겁을 내고 물러난다. 

시간은 우리를 기다리지 않는다. ‘균형’은 ‘중심잡기’이다. 평형추처럼 반대되는 힘을 적용하여 중심을 맞춰주는 것이 균형이다.

- 직업적인 성공: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가 중요. 중요한 것을 선택하고 필요한 모든 시간을 들여야 한다. 다른 업무에서 생기는 문제에 극단적으로 균형을 깨야 한다. 다른 문제는 손쓸 수 없이 악화되기 전에 가끔 중심을 잡아줘야 한다. (오랜 불균형 상태 유지)

- 개인적인 삶: 나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것을 아는 것이 중요 (몸, 가족, 마음, 친구 등). 이 중 하나도 오래 놓지 않고 치밀한 균형잡기가 필요하다. (수시로 균형 잡기)

중요한 일을 가장 먼저 두고, 나머지 부분은 기회가 닿는 대로 관심을 쏟아라. 훌륭한 삶이란 곧 다른 여러 부분의 무게를 맞추는 삶이다.

6.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큰 성과가 가능하다고 믿는다 – 기존과는 다른 질문을 던진다 – 새로운 것을 시도, 다양한 것에 가능성을 열어준다. 

생각은 행동을 만들고, 행동은 결과를 만든다. 큰 일을 두려워하지 말고, 평범한 이류에 그치는 것, 재능을 낭비하는 것을 두려워하라. 

사고 방식은 변할 수 있다 (성장의 사고 방식 <-> 고정된 사고 방식) 크게 생각하고, 큰 목표를 세우고, 대담하게 행동하라. 

[제2부. 진실: 복잡한 세상에서 중심을 잃지 않는 법]

남 다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초점탐색 질문을 통해 남다른 방식을 찾아야 한다. 올바른 질문을 하자.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그것을 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바로 그 일은 무엇인가?”: 단 하나의 일을 하고, 다른 모든 일을 노력을 덜 들이고 하거나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된다. 중요한 일에만 집중하고, 초점을 흐리는 다른 일을 피해라. 

“나의 단 하나가 끝나기 전까지 다른 모든 일들은 다 필요 없다.”

나의 단 하나는 무엇인가? -> 지금 당장 시작할 나의 단 하나는 무엇인가?

크고 구체적인 질문(“저걸 하고 싶다.”에서 “저걸 어떻게 이루지?”)을 통해, 크고 구체적인 해답을 얻고, 큰 질문을 초점탐색 질문으로 바꿔라. 해답은 당장 할 수 있는 것, 최대한 힘을 발휘해야 하는 것,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뉜다. 큰 해답은 본질적으로 새로운 해답이다. Comfort zone을 벗어나라. 새로운 해답은 늘 새로운 행동을 요구한다. 

[제3부. 위대한 결과: 인생의 반전을 불러오는 단순한 진리]

목적의식(Big One Thing,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에 따라, 우선순위(Small One Thing,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상, 우리가 취하는 행동에서 나온다)가 결정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결정된다. 

행복의 요소: 긍정적인 감정과 기쁨, 성취, 인간관계, 참여, 의미 –> 삶에 의미 있는 것을 찾아 몰입하고, 매일 하는 행위가 우선순위를 충족한다면 지속되는 행복이 가능하다.

과정을 시각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 계획: 휴식 시간 확보하기,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 확보하기, 계획할 시간 확보하기. (최대한 이른 시간 중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확보해라)

정해둔 시간은 지켜라: “그 무엇도, 그 누구도 단 하나의 일을 하는 나를 방해할 자격이 없다.”

단 하나를 위한 세가지 약속: 

- 자신의 일을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마음가짐 (늘 배우는 마음가짐)

- 끊임없이 최적의 길을 찾으려 노력 (한계 두지 않기, OK 고원에 안주하지 않기)

- 자신만의 단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에 책임 (일하는 방법 개선-새로운 방법을 지속해서 찾는다, 한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불편한 일들을 감수한다)

피해자인 척 굴지 말고 책임감을 가져라. (해결책을 찾아라. 내가 그 해결책의 일부이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에너지를 계획해라. (정신적 건강, 신체적 에너지, 정서적 에너지, 정신적 에너지, 업무적 에너지) 

더 큰 삶을 생각하고, 작은 것에 초점을 맞춰라.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보내는 시간 중 온전히 그것을 위해 쓰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 일과 중 1/3을 집중력을 되찾는데 사용해서 낭비하고 있다면, 이 시간을 줄이고 더 생산적인 일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지 않을까? 

2. 내가 가진 습관, 가져야 할 올바른 습관 찾아보기. 한 개씩 선택적으로 집중해서 한 개의 습관 들이기. 

3. 에너지가 떨어질 때 중요한 결정하지 않기. 제 때 몸에 좋은 것을 잘 챙겨먹기. 에너지 관리(수면, 건강, 정신)도 중요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회사 업무에서 ‘한가지 일’ 적용하기: 메일 알람을 끄고, 한 번에 한 가지 일을 위한 창을 띄우고 그것에’만’ 집중하기.

2. 시간을 보낼 때는 그 시간 속 일에 온전히 집중하기. 사람들과 있다면 사람에게 집중하고, 일을 할 때는 하고 있는 ‘한 가지’일에 집중하고 그 일이 끝난 후 다른 일을 시작하기. 단, 중요한 일부터 우선순위를 두고 끝낼 것. 

3. 매일 업무 시작 전, 매주 나의 목표의식에 맞는 월간 목표-주간 목표를 위한 원씽을 찾고 시간을 내고 집중할 것. To-do list에 우선순위에 따른 list를 기재하고 너무 많은 것을 하려고 하지 않을 것.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62) 해야 할 모든 일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간 내에 너무 많은 일을 해야만 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다.

(P. 201)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그저 남들보다 오랫동안 일해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내에 더 많은 일을 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정해 두고, 독하게 그것을 지킨다.

(P. 215) 하루하루 자신의 가장 중요한 도미노를 넘어뜨리면 마법이 일어날 것이다. 당신이 해야 할 일은 사슬이 끊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하루에 하나씩 할 일을 완수하는 것이다. 시간을 따로 정해 두는 습관, 강력하고 새로운 습관이 몸에 익을 때까지 말이다. 간단하게 들린다고? 정말 그렇다. 미리 정해 둔 그 시간을 잘 지킬 수 있다면 말이다. 

(P. 242) 모든 사람에게 예라고 말하는 것은 아무에게도 예라고 말하지 않는 것과 같다. (중략) 많은 일을 하면 할수록 그 중에서 성공을 거울 수 있는 가능성의 수는 점점 더 줄어든다.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할 수는 없다. 만약 그렇게 하려고 애를 쓴다면 기쁘게 해주지 못할 단 한사람은 바로 자신이다. 명심하라. 자신이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에 ‘예’라고 말하는 것이 당신이 가진 최고의 우선순위다. 

(P. 261) 믿음은 결과적으로 행동으로 이어지고, 행동을 함으로써 우리는 지금까지 한 모든 일을 악화시키거나 제자리로 돌려놓을 ‘그것’을 피하게 된다. 그것은 바로 ‘후회’다.  

(P. 268) 사람, 스스로를 바로 세워라. 그러면 세상이 저절로 제자리를 찾을 것이다. 삶에 목적의식을 가지고, 매일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우선 순위에서 높은 생산성을 올릴 수 있다면 당신의 삶도 조각이 맞춰지는 것은 물론 위대한 성과가 가능해진다. 모든 성공은 당신 내면에서부터 시작된다. 무슨 일을 해야 할지 알 것이다. 어떻게 해야 할지도 알 것이다. 다음 단계는 단순하다. 당신이 바로 첫 번째 도미노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딘두기user-level-chip
25. 02. 10. 10:59

다독왕은 제가 아니라 조장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