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기_5늘 4고싶은거 3가해서 돈모으조_우정] 1강 재테크 입문 수강 후기

 

 

장장 10시간의 재테크 입문 강의(온라인은 8시간이지만..!)를 듣고 들었던 생각은

‘너나위님은 찐진심으로 알려주시는구나’, 

열정이 느껴졌고, 진심으로 우리들이 부자가 되었으면 하는 그 마음이 느껴져서 

재기반 끝까지 낙오되지 않고 열심히 따라가야겠다고 생각했다.

 

길고 긴 수업시간이었지만 스킵할만한 부분은 1도 없었다.

강의의 거의 모든 내용이 인상깊었고, 

특히 자산을 불리기 위해서는 수입지출+저축,여기에 (현명한) 투자가 함께해야 한다는 것. 

여지껏 투자에 대한 나의 부정적인 편견이 조금은 바뀌게 되었다.

 

 

 

나의 돈 관리 점수는..?

 

 

 는 A등급이 나왔지만, 이것 또한 온전한 내 힘이 아니라는 것..;; 20대 초중반 저축습관을 들여준다며 엄마의 손에 이끌려 은행에 가서 예금, ETF펀드, ISA, 연금 등 뭔지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저축을 해왔는데

이제는 다시 제대로 배워서 내 스스로 재설계 해나가고 싶다.

 

 

 

 

조용한 숨은 부자가 되는 과정

 

  • 1단계. 얼마나 버는가
  • 2단계. 얼마나 쓰는가
  • 3단계. 어떻게 굴리는가

 

1단계(번다)와 2단계(모은다)가 선실행(저축먼저!) → 어느정도 돈을 모은 후에는 반드시 3단계(굴린다)를 익히고 오래 해나가야 한다.(always β투자 → sometimes α투자)

 

 

 

 

티끌 모아 태산을 만드는 돈 관리

 

  • 통장 최적화를 통해 ‘저절로 모이는 구조’를 구축 (1강의 핵심이랄까..★)

 

얼마를 버는지 알고, 

→ 지출 구분을 하고,(생활비,활동비,주거비,교육비,비정기)

→ 지출 구분별 예산을 세우고,(55%는 저축, 나머지 45%에서 예산 쪼개기)

→ 지출을 지키면서 저축

 

이것을 흐름도로 그려보고 내 상황에 맞게끔 지출 구분을 하고, 은행계좌를 분리하고, 용도에 맞는 체크카드를 발급, 미리 세운 예산 안에서 지출하는 시스템을 만드는게 너무 골치가 아팠지만, 어려운만큼 핵심이기에 제일 많이 고민해야하는 파트였다… 

 

<첫 번째 큰 숙제였던 지출 구분하기(feat.개인사업자)>

 

 

 

 

재테크 상식

 

  1. 연말정산 관련

    총급여액 = 근로소득 - 비과세소득

    근로소득금액 = 총급여액 - 근로소득공제

    과세표준 = 근로소득금액 - 종합소득공제(인적공제,카드사용공제)

    산출세액 = 과세표준 x 소득세율

    결정세액 = 산출세액 - 세액감면 - 세액공제(연금저축,보장보험료,월세 등)

    연말정산금액 = 결정세액 - 기납부세액

     

  2. 보험 관련

    정기보험, 실손의료보험, 질병보험(암뇌심), 연금저축펀드, 자동차보험 

    (종신, CI, 치매, 연금저축신탁, 변액연금보험, 운전자보험 → 없앨 보험)

 

 

 

 

돈에 대한 편견

 

  • 재테크는 주식, 코인같은 투자를 통해 돈을 불리는 것이다

    → NO. 30년 일해서 80년 살 수 있는 역량을 쌓는 것.

 

  • 점심값이 너무 오른 건 정부가 관리를 잘 못해서이다

    → NO. 물가상승율에 비례하여 통화량도 증가. 갈수록 구매력이 떨어지므로 투자를 통해 방어해야 한다.

 

  • 주변 친구들보다 대출이 적은 나는 이미 평균 이상이다

    → NO. 빚과 대출은 다른 것. 대출은 좋은 자산(가격낮고,가치가높은것)을 살 때만 쓴다.

 

  • 중요한 일(투자나 내집마련)은 당연히 가족들과 상의해야 한다

    → NO. 나를 사랑한다고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것은 아님. 스스로 판단하겠다는 목표를 가진다.

 

  • 투자는 위험하니 초보자라면 원금보장이 되는 것 위주로

    → NO. 리스크를 감수하되 노력을 통해 줄여나간다.

 

잘 모르고 경험이 부족할수록 직관은 높은 확률로 틀린다.

겸손한 마음으로 꾸준히 배우려는 자세를 갖고 실행에 옮길 것.

 

 

 

 

내게 맞는 투자는?

 

주식 VS 부동산 

  • 어떤 투자를 하든 반드시 지켜야하는 투자의 원칙

→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잃지 않는 것에 온 신경을 집중할 것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지만, 잘못되면 큰일나겠다 싶은 A

많이 벌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잘못되더라도 대응이 되겠다 싶은 B

→ 대다수의 일반인은 A선택(대박 아니면 쪽박. ex)오징어게임 ㄷㄷ)

→ 현명한 투자자는 B선택 (느려도 복리효과로 수익창출)

 

 

주식투자인지 부동산투자인지는 2강, 3강 모두 완강한 후에 선택해보기로…^^

 


댓글


user-avatar
이따쟁user-level-chip
25. 02. 11. 22:03

와 우정님 작성하신 후기보니까 너나위님 강의가 또 떠오르네요👍 세세하게 작성하신거 너무 멋져용😊 우리 낙오되지않게 열심히해봐요!!!

user-avatar
부총user-level-chip
25. 02. 12. 00:23

크 우정님 사업장까지 고려하시느라 두배 힘드셨을텐데 잘 해내시는 모습 멋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