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기 1강 수강후기[재테크기초반 5기 110조 부자소망]

[25년 4월 최신]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 만들기, 재테크 기초반

  1. 인상깊었던 점

     

    사회 초년생의 경우 6년내 1억 모으기, 저축률 55% 이상 유지하기.

    1억 씨드를 모으는 동안 공부를 하고 투자 준비를 한다. 

    부의 1단계는 저축이며, 돈의 심리학에서도 부는 쓰지않는 것이라고 하였다.

     

    바꿀수 있는 것에만 집중하자. 이제 덜쓰기위한 통장 최적화가 필요함. 

    월급 관리의 핵심은 ① 얼마버는지를 안다(월급, 보너스) ② 지출 구분한다. (저축, 생활비, 활동비, 교육비, 주거비, 비정기지출) ③ 지출 구분별 필요한 금액을 안다. ④ 지출 그대로 지키면서 꾸준히 저축한다. 

     

    저축 55%, 생활비 10%, 활동비 10%, 교육비 10%, 주거비 10%, 비정기지출 5%로 크게 잡고 3개월간 조율하면서 정착시켜본다. 

     

     

  2. 나에게 적용할 점

    ① 총 연봉과 세금으로 얼마를 내는지 처음으로 관심있게 보았고 그 의미도 파악했음. 

     

    ② 저축률 40%로 B등급에 해당하나, 50% 이상 저축하여 A등급 상향이 목표임(자녀 대학 졸업 후 A등급) 

     

    ③ 지출구분(저축, 생활비, 활동비, 교육비, 주거비, 비정기지출)로 구분하고 금액을 배분함. 교육비는 소득의 23.3%를 차지하고 있음(대학생 자녀 2명), 나머지 지출내역 세분하였으나 전반적으로 기존에 살던것과 달리 빡빡한 수준이다. 세목별 지출비용을 줄이는 방안을 고민하게 되고, 운동 횟수를 줄인다던가, 식비를 줄이기위해 도시락 구비 또는 직접 조리해야 하는 방안도 고민하게 된다.

     

     ④ 지출을 그대로 지키면서 목표 저축률을 유지하는 것이다. 기존 40%에서 50%이상으로 상향하도록 노력해보기로한다. 

     

      ※ 1강에서는 통짱쪼개기와 저축률 유지가 메인으로 지출 통장과  체크카드를 연결하여 용도별로 구분하고 흔들리지 않는 저축률을 유지하는 생활을 3개월간 실행해 보기로한다. 

     

     

     

     

     

     

     


댓글


부자소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