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는 매매하고서 생각하라고? 천만의 말씀~

  1. 전세는 매매하고서 알아보는 게 아니라 매매 전부터 전세 세팅까지 고려를 해둬야 시간과 비용을 세이브 할 수 있다.
  2. 전세에 치명적인 영향은 공급에서 나온다. 공급이 많아지면 전세 수요자들의 선택지가 많아지게 되고 같은 생활권을 사용하는 나의 단지의 경우 입주 물량의 영향을 피할 순 없다. 그럴 땐 대응을 하면 된다. 역전세는 피하는 것이 아니라 대응하는 것이며, 대응하기 위해 나의 리스크 관리를 미리 설계해두어야 한다.
  3. 전세를 내놓는데 있어서 매매 잔금 기간과 전세가 조정 여부를 미리 알아두어야 대응이 가능하다.
  4. 매매 잔금일=전세 잔금일, 매도자가 주인 전세로, 임차인이 이미 거주 중 인 여러 케이스에 대한 내용을 미리 숙지하여 나에게 유리한 전세 상황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여야 우위에 설 수 있다.
  5. 과도한 전세가는 오히려 나에게 독이 될 수 있다. 그 전세 시장 상황에 맞게 내놓아야 한다. 당장의 투자금을 줄이려다 평생해야 할 투자 생활에 큰 리스크로 돌아올 수 있다.
  6. 매매, 전세시 특약사항을 인지하고 혹시 모를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고 나에게 유리한 권리를 꼭 지켜야 한다.

 

 

 

 

내가 전세를 놓을 시점이  있다면 주변 공급, 등기부등본, 적정 전세가 및 적정 계약일자를 미리 세팅을 해두고 역전세 및 전세과잉에 대비할 준비를 해야한다.

 

등기부등본 열람 시 열람 일시(시각), 가처분 가압류, 근저당, 체납 등 나에게 리스크로 다가올 사항들을 미리 체크한다.

 

 

 

나는 전세라는 것이 부동산에 단순히 내놓으면 알아서 부산님들이 처리해주는 줄 알았는데 이렇게 많은 리스크가 있고, 체크해야할 사항이 많은지 몰랐다.

또한 각 케이스마다 어떻게 대응하고 어떤 상황이 나에게 유리한 상황인지 알게 되었고, 전세에 대해 한발짝 다가갈 수 있었다. 나는 매수인이자 임대인이다.

나는 매수인이자 임대인이다….

 

고로 나는 투자(매매+전세)를 잘 하기 위해 기본에 충실하며 복습을 해야한다.

또한 현 시장을 객관적으로 투자하며 감정이 앞서면 그만큼 나의 리스크가 커진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댓글


user-avatar
SG데미안user-level-chip
25. 02. 16. 10:22

봉식이형님 ㅎㅎ 공급쳌!!의 중요성! ㅎㅎ 완강 수고많으셧어요!! ㅎㅎ 독서후기 쓰러가보시죠??????????????????????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