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계약부터 전세까지 실전투자 A to Z
게리롱, 양파링, 식빵파파, 주우이

2강 강의후기입니다 :)
이번 양파링님 강의에서는 전세빼기의 모든 것을 배웠습니다.
1. 여러 상황 속 전세 빼기 방법
법인 전세, 주인 전세, 전세 낀 매물, 잔금일과 전세 날짜가 다를 때, 전세를 못 맞췄을 때 등등…
저는 평소 생각하지도 못했던 상황들을 모두 설명해주시면서 전세 뺄 수 있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여러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세는 가격을 낮춰서라도 빼는 것’ 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투자금을 줄이기 위해 매매-전세 차이를 최대한 줄이고자 전세가를 높게 설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어차피 나중에 회수가 되니 욕심을 부리지 말고 우선 전세부터 빼는 것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투자자에게 있어서 최악은 ‘전세가를 낮추는 것’ 이 아니라 ‘전세를 빼지 못해 잔금을 치르는 것’ 임을 다시 한 번 명심하게 되었습니다.
투자자에게 시간=기회비용 임을 잊지 말고, 전세가에 욕심 부려 시간을 오래 끌면서 기회 비용을 날리지 않고
얼른 전세를 맞춰 다음 투자를 준비하는 투자자가 되겠다는 다짐을 했습니다.
2. 적정 전세가
너무나도 부끄럽지만,,, 저는 전세는 부동산 사장님께 묻고 적정 시세에 맞춰 내놓으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ㅠㅠ
어차피 실거래가 찍히고, 전세 호가가 네이버부동산에 나오니
그 시세에 맞춰 내놓으면 되지 않을까? 하는 안일한 생각을 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적정 전세가 설정법을 배웠는데,
그 과정에서 적정 전세가 뿐 아니라 투자 물건을 매수할 때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매수하면 매물을 제대로 털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1호기 전세를 내놓을 때 주변 전세 시세를 보고,
무리하지 않는 적정 전세가를 설정해 볼 예정입니다.
3. 전세 낀 매물 전세 세팅
저는 전세 낀 매물로 1호기를 매수했습니다.
앞으로 그 지역의 공급 물량은 적고,
현재 전세가는 시세 보다 낮으니 큰 리스크는 없겠다… 하는 간단한 생각회로를 끝내고 매수했습니다.
강의를 들으니 제가 얼마나 대충 검토하고 1호기를 매수했는지 알겠더라구요 ㅠㅠ
솔직히 부끄러웠습니다………..(2호기 때는 강의자료를 다시 보자!!)
강의에서 알려주신 내용을 제 1호기에 적용해봤습니다. (이제 와서 ㅠㅠㅠ)
다행히도 큰 리스크는 없었습니다.
또한 전세 낀 매물을 매수할 때 유의할 점, 계갱권 사용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실제로 제 투자에 적용해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
이번강의를 통해 BM할 점
현재 1호기 임차인이 최대 몇 년까지 살 수 있는지 계산하기
댓글
BM할 점까지 정리하시다니 역시 꼼꼼한 조장님 ㅎㅎ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