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재테크 기초반 - 2025년 같은 월급으로도 쉽게 2배 모으는 방법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1차시
●ISA 계좌 활용:
2. 연금저축계좌 이전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는 금액 증액→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이 클수록 조기 은퇴의 시점을 앞당길 수 있음.
3. 3년 만기시, 비과세 200만원(400만원) + 초과분 9.9% 과세
●연금저축계좌 활용:
2차시
●연금저축계좌: 연금목적
●ISA계좌: 재산형성목적
●IRP계좌: 연금목적(중도이출 까다로움, 안전자산의무비율)
●연금저축계좌와 ISA계좌를 함께 활용하는 것이 가장 절세효과를 누리면서 자산형성 계획을 세울 수 있는 방법
●NAV를 꼭 확인해서 ETF의 실제가치 보다 지나치게 비싸게 사는 것을 주의
3차시
★중요: ETF 매수할 때 매수가격과 iNAV(실시간 순자산가치)보다 너무 비싸게 사면 안된다. 아무리 좋은 주식을 사더라도 iNAV를 확인하고 매수해야지 손실을 보지 않는다.
●주의: 괴리율 1%초과하는 가격에서 매수 절대 하면 안됨. 기준을 꼭 지키면서 안정적으로 매수. (그런데 상승장에서는 괴리율 1%에도 거래되는 경우 있음. 시장상황에 맞추어서 매수토록 고민.)
●ACE 미국 S&P500 구매할 것.
●초보자는 ETF 매수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절세를 위해서 계좌구성(연금저축계좌, IRP계좌, ISA계좌)이 중요하다. 미리 해놓지 않으면 세금을 내야하기에 후회하게 된다.
4차시
●연금저축계좌 적정금액을 불입함으로써 세액공제를 받아 결정세액 0원 만들기.
●ISA계좌는 투자를 바로 하지 않더라도, 세제혜택을 보려면 만기 3년을 채워야 하기에 미리 만들어 두는 게 좋고, 매년 한도액도 2000만원 증액되니 미리 통장 만드는게 유리.
●ISA계좌에 투자원금과 수익(9.9%과세적용)을 함께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할 수 있는데, 이전이 된 금액 중 세액공제를 받는 3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세제혜택을 받지 않은 금액이 되기에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이 되고, 건보료 인상이나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자가 되지 않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자유인출금액이 될 수 있다. 연금저축계좌에서 계속해서 투자할 수도 있다. 그러다가 다음에 은퇴할 시점에 자유롭게 빼서 쓰면 된다.
5차시
●결정세액이 남았다면 어떻게 한다고? IRP계좌
●연금저축은 누구나 가입가능하나, IRP계좌는 소득이 있는자만 가입가능.
●연금저축은 안전자산 요건이 없으나, IRP계좌는 안전자산 비율 30% 의무적으로 채워야 한다.
●주식투자시 적립식투자와 거치식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져가고, 투자횟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투자하는게 좋음
6차시
●결정세액이 있는 경우 통장 설계
STEP1 결정세액이 있다면? 연금저축계좌 불입
STEP2 결정세액이 그래도 남았다면? IRP계좌에 추가 불입
STEP3 투자금이 남네? 서민형 ISA /일반형 ISA
STEP4 그래도 투자금이 남네? 연금저축계좌에 자유인출금액 적립 또는 ISA계좌에 9.9% 세금을 내면서 추가투자 중 선택
●결정세액이 없는 경우 통장 설계
STEP1 결정세액이 0원이네? 서민형 ISA /일반형 ISA
STEP2 투자금이 남네? 연금저축계좌에 자유인출금액 적립 또는 ISA계좌에 9.9% 세금을 내면서 추가투자 중 선택
이번달 꼭 마무리해야 할 것:
ISA 계좌와 연금저축 계좌 개설했으니 금액적인 부분 설정한 후 ETF 매수까지 완료해 볼 것.
댓글
후라이님 차시별로 정리하는 것도 깔끔해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