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재테크 기초반 - 2025년 같은 월급으로도 쉽게 2배 모으는 방법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강의 듣고 깨달은 것>
-단편적으로만 알고 있던 3개의 계좌, 연금저축& ISA, IRP 계좌의 성격을 바로 알게 됨
-연금저축 계좌는 노후 연금보다는 절세계좌로 활용하여 종잣돈 불리기(조기은퇴 고고)
-ISA 계좌 3년 만기니 수익이 나면 (200만원 비과세, 초과시 9.9프로 과세) 바로 연금저축으로 이체~!!!
-IRP는 관리가 까다롭고 중도 인출이 안되기 때문에 연말정산 시 세금을 더 내는 것이 아니라면 우선 연금저축과 ISA계좌에 돈 넣기~!!!!
-미국 직투하면 세금이 22%(250만원 비과세), *손익통산 개념(손실과 이익을 합쳐 수익이 난 경우만 세금내기)
-ETF 매수할 때 꼭 봐야하는 정보 용어, 비용 용어들 정리
-성장주과 가치주의 차이
-펀드, 수수료를 많이 가져간다. 수익률도 실제로 안 좋았음ㅠㅠ
-앗,,, *연금저축담보대출도 있다니(하지만 우선 *주담대부터 받기)
-사례별 공략집은 잘 이해가 안됨ㅠ → 복습 필요
<Action plan>
1) 매월 50만원 연금저축 계좌에 이체하기(세액공제 금액 이월)
2) 매월 25일 또는 마지막날, s&p500 매수하기(장기적으로 25년)
: 일반형 ISA 월25만원씩 s&p500 매수
3) 미래에셋에 ISA 계좌 개설하고 3년마다 체크(NH QV ISA 해지!!)
4) 미래에셋에 연금저축 계좌 개설하기(NH QV 연금저축 계좌 이동 준비…) MTS 농협 QV 수수료가 비싸다.. ㅠ
댓글
아주 정리도 깔끔 할 일까지 완벽하게 정리하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