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본 것 그리고 깨달은 것 ]
Page | 본것 | 깨달은것 |
---|---|---|
31 | 아이들에게 도와달라(help)고 부탁하는 대신 남을 돕는 사람(helper)이 되어달라고 이야기 했다. | 행동을 정체성으로 바꾸는 개념에 대해서 많이 배울 수 있었다. 나 스스로도 아파트에 관심 많아요 로 끝나는게 아니라 직장인 투자자로 정체성을 확립하고 거듭나야 한다고 생각한다. |
34 | 바로 명사다. 진보적인 이라는 특징은 형용사지만 범주를 나타내는 진보주의자는 명사다. 누군가가 자주 달린다. 라고 말하면 달리기를 동사로 쓴 것이지만 누군가가 러너 라고 말하면 행동을 정체성으로 바꾼 셈이다. 행동을 정체성으로 바꿀 때 타인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형성된다. 행동을 지칭하는 말을 정체성을 나타내는 말로 바꾸면 실제로 타인이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 그리고 나 스스로도 변화할 수 있다. |
40 | 언어는 누가 책임자인지를 나타낸다. ”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면 상당히 뜻이 달라진다. 하지 않는 이유를 일시적인 제약보다는 좀 더 영구적인 요인, 즉 몸에 벤 태도를 가리키게 된다. 하고 싶어도 외부 요인이나 다른 사람 또는 무언가 때문에 못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 결정권을 내 쪽으로 넘어온다. | 나는 핑계를 대지 않는다. 나는 포기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나는 그런 사람이니깐 |
51 | 기본적인 접근법을 택하거나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기보다는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라고 요청했다. 두 가지 불완전한 선택지 사이에서 하나를 고르라고 수렁에 빠트리기 보다는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하도록 독려하자 문제를 보는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한 걸음 물러나서 상황과 거리를 두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생각했다. 다양한 목표와 대안, 결과를 고려하고 다른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됐다. | 개인적으로는 조금 더 나아가서 ”할 수 있다”도 좋지만 ”한다” 라는 확언적 표현을 더 좋아하게 됐다. |
55 | 다른 사람이 불안해하거나 긴장할 때 유용한 조언을 건네기란 쉽다. 한 발짝 물러서서 보다 넓게 상황을 파악하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철저히 고찰한다. 상황을 좀 더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자기대화는 자연스런 내적 대화다. 의식적인 생각과 무의식적인 신념 및 선입견이 합쳐진 내면의 목소리다. 이런 자기대화는 자신을 격려하거나 지지할 수도 있지만, (한번 해보자!) 부정적이고 자멸적일수도 있다. (또 흰머리야? 나이는 어쩔 수 없네) 제3자의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상황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그 결과 덜 불안해진 셈이다. 부정적인 감정도 줄어들었고 상황을 보다 긍정적인 관점에서 평가했다. 눈 앞에 어려움이 닥쳤지만 준비되지 않았다고 느끼거나 압도당하기보다는 충분히 대처하고 의연하게 감내해낼 만한 과제로 인식했다. | You can do it !! 약간 외국 스타일의 방식이라고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직접 나한테 이렇게 말할 때 더 에너지가 생기는 경험을 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남에게 어떤 조언을 해줄 때 일수록 너무 쉽게 생각하지 말아야겠다는 점도 생각하게 된다. |
65 | 인칭 대명사는 소유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인칭 대명사를 사용하느냐 마느냐는 우리가 이야기하는 주제에 대해 얼만큼 책임지려는지 보여준다. | 대화를 할 때 어떤 스탠스를 취해야할지 선택을 해야할 때 전략적으로 꼭 인지하고 있어야 할 것 같다. |
84 | 에두르는 말은 미처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영향력을 악화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에두르는 말은 생각이나 제안을 제시하는 동시에 그 생각이나 권고를 깍아내리기 때문이다. 말하는 사람조차 그 생각이나 제안이 시도해볼 만한지 확신하지 못한다는 인상을 준다. (대략 / 주장하건대 / 내가 알기론 / 일반적으로 / 어쩌면 / 보통) 때로는 의도적으로 에두르는 말을 사용한다. 불확실하거나 확신하지 못하거나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임을 표현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런 목적이라면 에두르는 말은 훌륭하게 제 역할을 해낸다. | 무의식 중에 어두와 어미에 붙는 추임새들이 어쩌면 나의 말의 힘을 빼고 확신없는 말로 들리게 할 수도 있었게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조금씩 조금씩 말하는 습관, 말하는 방식을 바꾸는 연습을 해야될 것 같다. |
90 | 주저하는 말은 심지어 에두르는 말보다 더 해롭다. 말하는 사람의 영향력과 권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이야기하려는 내용이 청중에게 전달되는 효과도 낮아진다. 누군가가 어, 음, 또는 저기 등의 말을 자주 사용하면 자신이 하는 말에 대해 정리가 덜 됐다는 뜻이다. 즉 진짜 전문가가 아니다. | |
98 | 결과적으로 과거시제는 주관성과 일시성을 전달하기 마련이다. 과거시제로 작성된 의견은 특정 개인이 특정 시기에 경험한 일을 바탕으로 한다. 반대로 현재시제는 그보다 일반적이고 지속적인 것을 암시한다. 무언가가 잘 작동한다 라고 말하면 단순히 과거에 잘 작동했을 뿐만 아니라 지금도 잘 작동하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라는 의미다. 현재시제를 쓰면 화자가 단순히 의견을 제시하는 게 아니라 비교적 그 의견을 확신한다는 의미다. | |
104 | 상반되는 견해를 다룰 때는 다소 우회적인 접근법이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다짜고짜 정보부터 늘어놓기보다는 우선 상대방이 좀 더 마음을 열고 수용력을 보이도록 독려부터 해야 한다. 그렇기에 의구심을 표현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우리도 갈등한다거나 확신하지 못함을 내배치면 덜 위협적으로 보인다. | 선 공감 후 거절 ??? 일단 공감대 형성을 하는 것이 어떤 일을 처리함에 있어서 정말 중요하다. |
121 | 앞말을 받아서 질문하기가 효과적인 이유는 반응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런 후속 질문은 단순히 예의를 차리거나 주제를 바꾸고자 함이 아니라, 듣는 사람이 경청하고 있으며 내용을 이해했고 더 자세히 알고 싶어한다는 신호다. 호감을 얻고 싶은가?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상대를 존중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싶은가? 그냥 질문이 아니라 올바른 질문을 던지자. | “질문”이라는 영역이 단순히 나의 궁금함을 물어보는 과정이 아니라 화자와 청자간의 진짜 친밀감을 만들어낼 수 있는 정말 중요한 소통의 수단이라는 것을 배우게 된다. 내가 좋아하고 존경하고 따르는 사람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좋은 질문을 준비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 |
161 | 일반적인 답변은 어떤 상황에서나 사용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일반적이라는 것은 특정성이나 구체성이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추상적으로 이야기하는 사람이 실제로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 어떤 답을 할 것인지도 중요하다. 단순한 답을 하면 단순한 이야기만 오고 갈 뿐 |
162 | 상대방이 자신의 말을 경청한다고 느끼려면 세 가지 일이 일어나야 한다. 우선 상대방이 자신의 말에 관심을 기울인다고 느껴야 한다. 두번째로 상대방이 자신의 말을 이해했다고 느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대방이 경청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 |
205 | 이야기의 정점 뿐 아니라 순간순간의 변화도 중요하다. 지금 바닥이 꺼질 순간인가? 정상까지 절반 정도 왔을까. 아니면 거의 다 도달했을까? 이런 불확실성이 이야기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든다. | 나의 이야기도 순간 순간 불확실성 속에서 더 매력적인 줄거리가 되길 … |
245 |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면 대화가 활기를 띄고 유대감이 더욱 깊어지며 집단에 속해 있다는 인식도 강해진다. 이 모든 요소는 호감 및 신뢰 상승을 비롯해 다양한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다. | 나만의 ego 에 사로 잡혀서 독단적인 언어로 말하는 것을 지양하자. |
258 | 유사한 언어를 사용하려면 보통 다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하므로 더 괜찮은 데이트부터 더욱 성공적인 협상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바람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사람은 어느 정도 신선함과 자극을 추구하고 새로운 것을 가치 있게 여기는 성향이 있으므로 어느 정도는 차별성으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킨다. 똑같은 일을 여러번 반복하기보다는 다양성과 흥분을 제공하는 새로운 것을 찾는다. | 협상을 해야하는 우리에게는 유사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동질감을 만들고 경청한다는 분위기에서 내 편으로 만드는 게 중요하다. |
[ 적용할 것 : One action ]
쉽다고 치부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꼭 꼼꼼하게 가다듬어 간다.
댓글
율빨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