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소액으로 돈버는 황금루트
자음과모음, 게리롱, 식빵파파, 제주바다

안녕하세요 피핑1입니다.
이번에는 D. E 지역 분석에 대한 망구님의 강의였습니다.
지역 분석을 자세히 해주심에도
아직 D.E 지역 모두 임장을 하지 못해서
완벽히 흡수되진 못한 것 같아서 아쉬웠지만
새롭게 도시를 알아가는 과정은
역시 재미있었습니다.
둘을 같이 이해하면 좋은 이유
닮은듯 다른 두지역을 알아가면서
각 입지요소의 분석 포인트를
BM 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디테일한 학군 수요가 기억에 남습니다.
강의를 듣기전 중소도시 입지요소를
한판에 정리하면서
D지역은 공부를 잘하는구나
학업성취도 90% 이상인 학교가 많구나 생각했었는데
정작 지역에서 수요를 끌어들이는 학교는 달랐습니다.
학군지 확인시 유의할 사항에 대해서는
현재임장지에서 바로 적용해보겠습니다.
현재의 데이터를 가지고
바로 투자에 대한 판단을 내리면 안된다는 것을
여러 장표를 가지고 설명해 주셨는데
중소도시 환경의 의미, 공급예정, 미분양 등등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투자자의 사고흐름과 데이터가 주는 의미를
다시 한번 살펴봐야겠습니다.
가격은 싸고 입주물량은 많은
D.E 같은 시장에서
투자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해
너무도 중요한 튜터님의 인사이트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전 자모님이 강의해주셨던 B지역
그리고 특히 이번 강의의 D지역은
과다 공급이 예정되어 있는
대표적인 중소도시 였습니다.
리스크는 대응의 영역이라고 배웠는데
초보투자자인 제가 대응은 할 수 있을까
생각하면서 임장 우선순위로 두진 않았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느꼈던 점은
D.E 지역 가격이 너무너무 싸다는 것이었습니다.
많은 지역 임장해본것은 아니지만
정말 누가봐도 저평가 되어있다고 생각될만한
가격이었습니다.
"왜 쌀까요? 리스크 때문입니다."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살펴본 후 용기를 낸다면 어느 누구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튜터님의 인사이트 흐름을 보면서
제 상황에 대입해서 생각해보았습니다.
예시로 들어주셨던 D지역 랜드마크 단지는
기회비용 측면에서 저에게 맞는 투자물건은 아니었습니다.
무조건적으로 리스크는 피해야해 가 아닌
합리적인 투자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의 사고력
결국 나에게 맞는 투자인가 생각해보는 과정
이번 강의에서 꼭 BM해야할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D.E 지역은 현재 여러분이 공부하기 너무나 좋은 시장입니다."
공급 단지들이 입주하는 것을 보고
전세가 쌓이는 것, 전세가 소진되는 것
주변 전세 가격은 얼마나 빠지는지
어디 위치까지, 어느 기간동안 영향을 미치는지
가격들을 지켜보면서
시장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오랜시간 부동산 시장에 머무르게 되면
또 마주칠 수 있는 시장이고
이 때 만들어진 통찰력이
지역을 이해하고
투자여부를 판단할 때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가까운 시일에 반드시 D.E 지역
임장해봐야겠습니다.
어차피 지금 임장하고 있는 지역에서
바로 투자를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시세트레킹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어서 그런지
아직 가격의 흐름이 느껴지거나 하진 않는 것 같습니다
아직은 빈칸채우기를 하고 있는듯한 느낌...ㅠㅠ
망구님 강의에서 새롭게 알게된 것은
저렴한 지역과 비싼 지역에서
트레킹 단지 선정을 어떻게 하면 좋은지
알려주신 부분입니다!!
저도 꾸준한 시세트레킹으로
지수보다 빠른 분위기를 감지해 낼 수 있는
투자자가 되어보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댓글
후기도 꼼꼼하신 피핑님~ 후기 읽으니 강의복습하는 것 같네요ㅎㅎ 남은 과제도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