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남구, 송파구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되면서 해당 지역 중심으로 매매가는 급등하고 있지만, 강북권(동대문,강북,노원 등)은 가격 하락폭이 더 커진 상황이라 서울 내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2
공사비 급증 (자재, 인건비, 설비기준 강화 등) 으로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크게 상승하고 있고, 여러 사회이슈 등이 겹치면서 10대 건설사들도 수주를 피하고 있어 공급한파는 예정된 미래로 보입니다🧊🧊
#3
6월부터 지자체 재량으로 실시여부를 결정하던 안전진단이 폐지되고 지자체는 재건축 요청이 들어오면 30일 이내 실시계획을 통보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고 합니다😃 또한 정비구역 지정 전에 조합설립추진위 조기 구성이 가능하도록 변경한다고 합니다😁 재건축 단계를 줄여 속도감 있게 정비사업을 진행하려는 국토부 의지가 보입니다👏
#4
정부가 PF사업의 자기자본비율을 20%로 끌어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인 가운데 현재 상위 4% 사업장만 이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이 30~40%지만 국내 PF현장의 평균 자기지본비율이 2~3%에 불과한 상황이라 개선이 꼭 필요해보입니다🥹
#5
우리은행이 다주택자 수도권 주담대를 재개했다고 합니다👏 변동형 대출상품에서 가장 중요한 코픽스 금리도 꾸준히 내려가고 있는 상황이라 대출금리는 앞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6
서울 상업용 부동산 거래가 9년만에 최대라고 하네요📈 제가 예상했던 것과 다르게 공실률과 임대료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보입니다😂 상업용부동산도 입지 별로 차이가 있을 거라는 개인적인 생각이 듭니다 🤔 (양득화)
댓글
긍정님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