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를 보려고 하자  문제를 보려하지말고~~~!!!! 

 

진하게 남은 한마디였다…   

 

 

 

25년 2월 부동산 시장 

 

  • 서울 매매 6억 / 전세 4억 지금 많다 → 싼거임 

 

  • 전고점을 돌파하지 못 하는 아파트 → 비싸지 않은 

 

 

지방 미분양 아파트 등록하면 임대사업자등록할수 있게 해줌 

 

경기도는 엄청 쌈 

  • 전세 4억 - 강남 30분 계단식 방3개가 5.6~7억  - 리스크없는 아파트  
  •  

 

 

매수 / 매도 의사결정의 순서

  1. 가치 있는 영역에 포함되는가?
  2. 가격이 적정한가?  (매매가, 전세가)
  3. 전세 임대 리스크 제어가 가능한가?  (수급, 금리 모두)  
  4. 매매-임대 과정 대응 가능한가? (잔금. 예기치 못한 상황) 

 

창원시 성산구 용지더샾레이크파크  

입지가 비슷하면 평수작더라도 초신축으로! 

 

4급지 선호하는 초중학교 근처 아파트 투자

   교통이 좋지만 학군이 안 좋은 곳  VS 교통은 조금 불편하지만 학군이 좋은 곳?  

마포 염리초 , 

=>  대치, 목동, 중계동 제외 해당 지역 내에서만 알려진 학군지는 교통보다 중요하진 않다.    

  (학군은 환경안에 포함된다, ) 

 

종잣돈 2억  :   수도권 9/7 노려도 좋다 

 

 

 

좋은거

 

  1. 위치
  2. 환경 :  편의성,  안전성 

 

 

중요한것!! 

→ 하는게 중요!!!  

→ 비슷하면 덜 오른걸로 !!!   

 

 

신림동 산꼭대기 위에 아파트(관악산벽산타운 5단지) (18년 2.9억 → 지금 4.3억  2배가 안됐다는건 힘이 없다는 이야기   ,  강북구 번동,  

 


댓글


토마토8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