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의 안전장치 그것은 비교평가!!

시원시원한 딱 내스타일 식빵파파님

강의 수강전 파파라서 남성강사님 인가 했는데 아름다운 식빵파파님 살짝 당혹^^

 

9000번의 비교평가 2500번의 임장 감탄이 나오는 숫자 입니다.

2021~2025년 진정 위 숫자가 실화인지!! 존경합니다.

 

시장진단→비교평가→실전투자→투자자로 성장

 

나는 1등급을 참 좋아한다.

왜 검증이 되어서

그러나 세상에는 1등급만 있는것은 아니다.

나는 매년 낙과를 구입해서 먹는다. 농가를 돕고 싶기도 하지만

상품성이 조금 떨어 진다고 해서 맛이 없는 것을 아니다. 오히려 깜짝 놀랄 맛을 주어 만족도가 매우 높을때가 많았다.

적절한 비유인지는 모르겠지만..

 

투자금은 제한되어 있다.

비교평가를 통하여 가치대비 싼 물건을 찾고 

수익이 날때까지 확신을 가지고 잘지켜서 수익을 실현하여 부자가 된다.

 

그러기 위해 반드시 우선은 시장진단 필요

전체적인 시장 분위기 -기사,뉴스등 참조

실제 현장을 통한 사실 확인 - KB통계(색깔로 본다), 전화임장, 부동산 매물수

>서울수도권 : 좋은데 싼것

“2025년 서울 수도권 비싼곳을 비싸고, 싼곳은 여전히 싸다. 싼것과, 비싼것 공존 . 개별 단지가격흐름을 보자”

“사람들이 좋아하는 곳은 매물수가 줄고, 덜 좋아하는 곳은 매물수 증가”

상대적 저평가

 

>지방 : 다싸면 더 좋은것 (가장좋은것)

하락후 회복 못해 여전히 다 싼 대부분의 지방도시 그러나 공급에 따른 지방도시별 판단 필요

절대적 저평가

비교평가 3단계 

시장에 맞는 투자 우선순위 확인→비교평가를 통한 가치 판단→투자의사 결정

 

>비교평가를 통한 가치 판단

서울수도권에서의 비교 평가 

생활권 고정 비교평가  : 하나의 생활권안에서만 비교평가, 생활권안, 단지별 가치 판단 후 비교평가

                                    단지 개수가 무한정X, 최대 4~5개 정도 처음에는 2개 부터(실력에 따라 개수 늘려가라)

                                    비교평가할 생활권 파악(세분화), 시세 전수조사를 통한 전고점대비-20%~-15% 하락여부 판단

같은 생활권 안에서 환경요소분석시 백화점 마트 등 큰 인프라는 함께 공유 따라서 주변환경이 아닌 단지자체의 환경요소 평형구성, 구조 , 단지 관리 상태 → 선호도에 영향주고 가격에 반영되는 요소 파악.

 

가격 고정 비교평가: 모든 생활권(여기서는 생활권 구분X), 같은 가격을 가진 단지 비교평가, 서울 수도권의 경우

                               같은 지역이라도 가격의 범위 다양하므로 상/중/하(그룹핑) 가격레벨로 나누어서 비교평가 

나의 상황+ 투자금까지 고려해서 싼것 중 제일 좋은것 선택

비교평가를 통해 가치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호재 검토X, 하지만 비교평가를 통해 저평가 단지에 해당한다면, 같은 가걱 같은 조건이라면 호재가 있는 단지를 우선 검토

 

아파트비교평가요소 나라면 어떤 선택을 할까? (부동산은 인문학이다!!)

비교평가요소

아파트아파트아파트아파트

매매/전세

    

전세가율

    

투자금

    

교통(강남접근성)

    

환경

    

학군

    

가치순서

    

가격순서

    

 

 

 

 

 

 

 

 

 

 

 

 

 

 

 

 

비교평가를 통해 가치대비 싼 저평가 단지→매물임장 우선적으로 해야하는 단지

 

>투자 의사 결정

매물 임장후  단지별 1등 뽑기

  1. 가격이 싼가?
  2. 조건 상태 좋은가?
  3. 투자금이 적게 들어가는가? 수리비포함가격

    계약형태 -전세낀, 월세낀, 만기시점의 공급상황 파악 중요,만기시점 중요

  4. 감당 가능한가?

저. 환. 수. 원.리.!!!!-

같은 가격이라면 어디 ? 같은 가격으로 더좋은 가치,더좋은 입지,단지를 투자할수 있는가?

간은 투자금이라면 어디? 같은 투자금으로 더좋은 가치, 더좋은 입지의 단지를 투자 할 수 있는가?

내가 아는 단지중에 최선의 선택

지금 바로 투자 어렵다면, 시세트레킹

단지별 1등뽑기, 임장지내 투자의사 결정

 

부동산 투자자로 성장하는 방법은 투자도 중요하지만 기준을 지키는것

아무리 좋은 단지라도 내가 배운 투자기준에 맞지 않으면 투자 하지 않는다.

그럼 내가 할 수 있는건 뭐지? 질문한다. 

내가 가지고 싶은 단지를 비싸게 투자하는게 아니라 싸게사서 비싸게 판다는 것 

투자 범위를 넓혀 좋은데 오르지 못해 싼곳을 찾는다! 

잃지 않는 투자=기준을 가지고 안전마진을 확보하는 가치대비 싼곳을 사서 비싸게 판다.

비교평가의 중요성, 아는 지역, 아는 단지를 만드는 최소한의 시간-무르익을 시간이 필요한다.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실력을 가진 부동산 투자자로 성장하자!

 

독.강.임.투 를 통해  아는 지역과 아는단지를  많이 확보하여 명확한 기준을 가지고 투자하는  실력있는 투자자가 된다.


댓글


책먹는리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