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몰입을 몰입하기 어려워도 몰입한 결과는? [열중반 43기 5또케든 1거내조 사라다]

  • 25.02.24

 

 

 

STEP1. 책의 개요

 

책 제목몰입
저자 및 출판사황농문, 랜덤하우스
읽은 날짜2/22~2/24
핵심키워드 3가지Slow thinking, 몰입의 기쁨, 목표 설정
총점(10점 만점)7

STEP2. 본깨적

 

챕터 키워드# 목표 설정 #창의성 # 사고력 훈련법 #유대인의 영재교육 
내용 요약창의성이란 미지의 세상에서 한 발 더 내디딜 수 있는 능력이다. 사람이 창의성을 키우려면 한 문제를 스스로 오랜 시간 고민해서 해결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 교육현장도 현재의 주입식 위주의 입시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 현재는 창조형 인적자본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높은 교육열 문화가 있으니 이를 활용하여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으로 방향성을 틀어야 한다. 몰입적 사고를 실천하는 교육으로는 유대인의 영재교육을 참고할 수 있다. 그 중에는 생각을 유도하기 위해 계속 질문하며 대화하는 교육 방법이 있다.
깨달은 점

재독을 하면서 성장에 필요한 건 꾸준함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꾸준함 정말 많이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바로 ‘적절한 난이도’이다. 했던 일을 반복하면 성장하는 것 같아 보이지만 정체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후퇴를 하기도 한다. 더이상 몰입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몰입을 하기 위해서는 내가 하지 못했던 일들이지만 해볼 만한 것들에 도전할 필요가 있다. 나는 도전보다는 안전을 좋아한다. 했던 일 반복하는 거  아주 좋고 잘한다. 마음에 여유 가지고 할 수도 있고 딴 생각해도 크게 위험 부담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가 발전하려는 대상이 있다면 그것만큼은 그냥 했던 대로 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적용할 점

몰입에 중요한 건 두 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첫째는 목표 설정. 내가 왜 하는지, 이걸 통해서 뭘 얻고 싶은지를 분명히 한다.그리고 이걸 통해서 내가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이 있어야 한다. 둘째는 난이도 설정. 내가 어디까지는 수월한지 알고 이 다음 스텝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게 나에게 도전과제가 되는지가 중요하다. 사실 난이도 설정은 스스로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혼자서 하기 어려울 때도 있기 때문에 주변 선생님들의 도움을 받는다. 월부 안에서는 튜터님의 도움이겠지? 

 나는 두 가지에서 잘 해나가고 있는지 되돌아 본다. 목표 설정은 되었지만 내가 그 목표를 생각만 해도 가슴이 뛸 만큼 나에게 확신을 주고 행복한 내용인지 되돌아봐야겠다. 또 이번 2월의 도전 과제가 있었다. 그 도전과제를 실패하지 않고 성공하는 경험이 내게는 필요해 보인다. 

기억하고 싶은 문구(페이지 수)(71) 집중된 상태는 산만한 상태와 달리 자신의 정신적인 수행 능력, 즉 머리를 써서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공략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 상태다. (93) 분명한 것은 걱정이나 스트레스 자체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이 유도한 몰입 상태가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것은 몰입이지 걱정, 스트레스 또는 위기감이 아니다. (594) 미지의 문제를 만나면 해설에 의존하지 않고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스스로 생각해서 해결하는 방식으로 공부하면 되는 것이다. (644) 만약 돈을 버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하더라도 몰입하여 그 방법을 찾아 일했다면 그 과정에서 행복을 경험할 수 있다.

댓글


사라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