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중 43기 발품89 독서로 힐링하조 개경]_몰입을 읽고나서

  • 25.02.24

* 독서후기 제목은 닉네임과 책 제목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

3. 읽은 날짜: 25.02.17 ~ 25.02.23

4. 총점 (10점 만점): / 10점

 “해야할 일을 즐기며 행복하게 사는 방법. 나는 그 해답을 ‘몰입’에서 찾았다” p419.

 

STEP2. 책에서 본 것

Work Hard에서 벗어나 Think Hard를 하라. 

몸이 일하게 하지 말고, 생각이 일하게 하라. 

몸이 일하는 것은 주어진 일을 끝내기에 급급하여 좋은 성과를 내기가 어려우며 한계가 있고, 점점 몸이 지쳐서 오래 지속할 수 없다.

그러나 몰입하는 것은 계속 지속할 있으며 오래 지속할수록 그 효과는 무한대로 커진다, 1초도 쉬지 않고 한가지 일에 몰입한다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으며, 단계적으로 훈련을 통해 그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다.

몰입을 통해 자기 효능감을 경험하고, 나의 잠재력을 깨워 소망하고 실현시키고 싶은 것을 계속해서 이루어 의미있고, 후회없는 삶을 살자.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0년전에 모셨던 팀장님께서 한가지 문제를 계속해서 생각하면 결국은 답이 나온다는 조언을 해주셨던적이 있었다. 

그 때 풀어야 할 문제가 있어 절박한 마음으로 퇴근길 버스에서 풀리지 않았던 문제를 계속해서 생각했다. 점점 해결의 실마리를 보이면서 다음날 아침에 출근준비를 하면서 답을 얻었던 적이 있었다. 그 때 느꼈던 행복감과 성취감과 이번에 몰입을 읽으면서 새록새록 기억이 났다. 그 때 팀장님께서 말씀하셨던게 이거였구나!! 

그 때 몰입의 효과를 경험했음에도 계속 지속하지 않았을까? 

아마도 생각하는게 자체가 귀찮은 일이라고 생각한거 같다. 퇴근길 버스에서 드라마나 유튜브를 보는게 회사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잠깐 잊을 수 있는 즐거움이였기 때문에 생각하는 것은 항상 뒷전이였다.

그 시간에 해결해야할 문제를 천천히 몰입해서 답을 얻을 수 있었음에도, 그 방법을 알았음에도 실천하지 않고, 마감기간이 닥쳐서야 부랴부랴 해결책을 고민하며 그저그런 답을 냈던게 일상다반사였던 것 같다. 

그 때 팀장님의 조언을 경험삼아 몰입을 계속 실천했더라면 지금의 나는 어떻게 되었을까?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예전에 경험했던 것을 거울삼아 1단계 약한 몰입부터 실천해봐야겠다.

매일 출퇴근길 버스안에서 오늘의 가장 중요한 원씽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까? 이 방법이 최선인가? 더좋은 방법을 없을까?를 천천히 편안한 마음으로 생각해보려고 한다. 마감기한이 임박해서 수동적 몰입을 하기보다는 앞으로 해야할 일을 미리 천천히 몰입해보고자 한다.

고민이 있거나, 문제가 풀리지 않아 생각이 많아지면 잠을 못자는 경우가 많다. 불면증은 몰입에 크나큰 방해요소가 될 수 있으니 1시간 30분의 점심시간을 활용하여 40분동안 단백질 위주의 식사를 하고, 이후 30분동안 계단오르기를 해봐야겠다. 그리고 나머지 20분동안 선잠 자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SABC분석만으로 답이 나오지 않은 단지 비교분석과 1등 뽑기를 나라면 어떻게 할까? 천천히 생각해보는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다.

거창하게 몰입을 시작하는 것 보다는, 책에서 알려준대로 일상에서 천천히 약한 몰입 1단계부터 시작한다면, 어느새 몰입에 익숙해져서 더 나은 나로 성장해 있지 않을까 희망을 가져 본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 의도적인 몰입 이론은 바로 의식의 무대 위에 내가 원하는, 혹은 필요요 하는 내용을 올리려는 의도적인 노력을 하자는 것이다. 그래서 내 삶의 행로의 확률을 바꾸자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평소에는 달성하기 힘든 낮은 확률을 구현하고 나의 꿈을 향한 인생의 오르막을 오를 수 있음을 뜻한다. P95

            

  • 내 의식의 무대 위에 현재 나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 하나를 올려놓고 스포트라이트를 계속 비춰주면, 나의 무의식에서 그 문제를 해결해낼 탁월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솟아오르는 순간을 분명히 경험할 수 있다. P97

     

  • 몰입에 들어가기전에 준비할 것들
  1. 문제를 설정하라.생각을 한곳에 집중하려면 명확한 목표가 있어야 한다.
  2.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확보하라. 몰입에 들어가기전에 다른일을 끝내놓고, 오해가 없도록 주변사람들에게 양해를 구해 놓는다.
  3. 불필요한 외부정보를 차단하라.  TV, 인터넷, 유튜브 등을 차단해야한다.
  4. 혼자만의 공간을 선정해라. 한적한 장소를 택하여 독방이나 혼자만의 공간이 있어야한다.
  5. 규칙적이고 땀 흘리는 운동을 해라. 운동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생각을 지속하면서 떨어지는 수면의 질을 올리고, 자신감과 의욕을 만들어주고 뇌활동을 촉진시켜준다.
  6. 단백질 위주의 식사를 해라. 몰입은 매우 활발한 두뇌활동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활동은 단백질 소모가 많이 되고, 도판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을 만들기 위해서는 단백질뿐만아니라 비타민B와 비타민 C등이다

    P117~122

     

  • 장기간의 몰입의 경험을 통하여 예전의 ‘Work Hard’ 패러다임에서는 평생을 해도 없을 수 없는 성과를 

    ‘Think Hard’ 패러다임으로 불과 수개월 만에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211

     

  • 긍정적인 보상과 부정적인 보상이 유도하는 목적지향성을 우리 뇌가 작동하는 메커니즘이다. 그러므로 몰입에 들어가려면 반드시(위기감을 활용하거나, 재미를 활용하거나) 목적지향을 이용해야 한다.

    어떤일이건 목적이나 목표를 만들고 강화시키면 그 일의 의미가 생겨난다 어떤일이 나에게 의미가 있다면 그 일의 결과에 따라 나의 시냅스가 흥분할 확률이 높다. P227

     

  • 내가 어떤 활동을 하느냐,그리고 무엇을 생각하느냐에 따라 주어진 일에 대한 시냅스의 형성이 영향을 받고 그 결과 주어진 일에 대한 나의 감정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내가 나를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은 뇌과학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다. P262

 

  • 내가 살아있는 시간이 유일한 기확이고, 이 삶이 기회를 잘 보내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는 나한테 달려 있다. 서서히 다가오는 죽음에 대해여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살아 있는 동안 가장 삶다운 삶을 사는 것이다

    작지만 내가 가진 모든 능력을 최대로 발휘 하는 그러하 삶을 살아야 하는것이다. 왜냐하면 살아 있음이 나의 유일한 기회이기 때문이다. P273

     

  •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자신의 뇌의 주인이 되어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사고를 하는 생각하기를 해야 내 두뇌의 잠재력을 십분 활용할 수 있고 지고의 즐거움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다.

     

  • 내가 해결해야하는 혹은 몰입도를 올리고자 하는 주제를 포스트잇에 적어서 거실이나 주방 등 눈에 잘 보이는 공간에 붙여둔다. 그러면 잠시 잊고 있었다가도 포스트잇을 본 순간, 그 문제로 내 의식을 되돌릴 수 있다.

 

  • 지금 해야하는 일, 해야하는 공부를 세상에게 가장 숭고한 목표로 만들어라.그러면 삶을 채우고 있는 모든 순간이 행복해질 것이다.’해야 할 일을 즐기며 행복하게 사는 방법, 그 해답은 “몰입”이다.

댓글


개경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