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월부학교 겨울학기 생존투자서바ㅇ1벌 프머1퍼 게임 1풍요] 부동산트렌드 독서후기

  • 25.02.24

이 책을 읽기 전에 부동산흐름을 알고 실제 내가 위치한 지점을 파악하고 그 위치에서 가장 수익률 좋은 투자를 할 수 있을꺼라는 기대감으로 책장을 넘겼다.

 

2025년 서울 아파트 시장을 슈퍼사이클이라는 내용으로 그렇게 생각한 이유와 근거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저자의 생각을 견고히 하고 있다.

 

여러가지 데이터와 서울 12개 구의 대장단지를 통해 알아보는 서울시장은 아는 단지들이 나와서 흥미롭게 보았다.

 

그 중에 전세가에 대한 이야기가 눈에 띄었는데

 

p 109 전세가격지수의 흐름을 보면 2022년 대폭락기를 제외하면 전세가격을 큰 틀에서 항상 우상향했다. 자세 히 살펴보면 2012년부터 2022년 3분기까지 근 11년 동안 전세가격이 전년 동분기보다 낮았던 적은 고작 2회) 2019년 1분기와 2분기)에 불과하다. 부동산은 계절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전 분기 혹은 이전 월 대비 상승률은 전반적인 패턴 분석에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전년 동월 혹은 동분기와 비교하는게 의미가 있다. 만약 분석 결과가 이처럼 아주 장기간에도 같은 방향의 흐름을 보여준다면 그 변수의 내재된 특징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p 110  매매 시장은 거주 수요와 투자 수요가 모두 있다. 그런데 전세 시장에는 투자 수요가 존재하지 않는다. 전세 시장의 수요는 오롯이 실거주 수요뿐이다.

 

서울 아파트의 전세는 항상 우상향했으며, 전년 동분기보다 낮았떤 적은 2019년 1분기와 2분기뿐이며, 전년 동분기와 비교한 이유는 부동산의 계정성이 존재하기 전세의 가격비교를 전년도 이전 분기 또는 이전 월 대비하여 분석하는 것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다.

 

나는 이 부분을 일고 전세의 우상향은 당연한 것으로 만약 아파트의 저가치 단지를 전세의 흐름으로 파악해도 될른지라는 생각을 했다.

또한 아파트의 계절성이 있다는 것에 공감하며, 실제 나는 전세 자료를 볼 때 전년 동분기 또는 전년 월을 보는지 다시 한번 더 생각했다.

실제 나는 전세가를 보거나 전세 자료를 볼 때 매매-전세 차이에 대한 자료를 많이 보아 크게 생각하지 않고 봤던 것 같다. 앞으로 전세가에 대한 자료 해석 시 부동산의 계절성을 유념하여 봐야겠다.

 

이 책은 생각보다 받아들이기 복잡했던 것 같다.

복잡했다는 의미는 글을 읽고 그래프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해왔던 것들이 아니여서 인지 의미있어서 더 들여다 보고 싶은 장은 좀 머물러 있었다.

 

서울 부동산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고 저자가 생각하는 부분들이 관점에 차이라는 것도 느낄 수 있었다.

 


댓글


블랙달리
25. 02. 25. 08:13

1풍요님 독서 후기 쓰느라 너무 고생하셨습니다!! 지금은 어렵고 그렇지만 우리 꾸준히 해나가다보면 분명히 더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