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빵미] 몰입 독서 후기 : 생각하기는 더 이상 골치아픈 일이 아니다!

  • 25.02.25
몰입 확장판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 알에이치코리아

3. 읽은 날짜: 25.02.25

4. 총점 (10점 만점): 9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슬로싱킹 #생각을 지속하는 힘

대충 생각하거나, 생각하다가 깨닫지 못할 경우 곧 그만두어 버린다면 천년이 지나도 깨닫지 못할 것이다. 나는 몇 달이고 몇 년이고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그러다 보면 99번을 틀리고, 100번째가 되어서야 비로소 맞는 답을 얻어낸다.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한다. 특히 시험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이 생길 때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고 결과는 하늘에 맡긴다는 진인사대천명의 자세를 갖는다.  천천히 생각하기에 의해 몰입에 들어가는 것은 마음의 산책을 하는 것과 같아 심리적인 부담이 없고 습관이 되면 오히려 즐겁게 실천할 수 있다. 천천히 생각하기는 자율적으로 몰입도를 올리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자율적으로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올리는 방법이 바로 천천히 생각하기다. 생각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거나 아이디어를 얻는 데 유리하고 문제와 오랜 시간을 씨름할 경우에도 쉽게 지치지 않는다. 문제가 쉽게 풀릴 것 같지 않으면 우선 마음을 편하게 가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시간에 쫓기지 말고 문제가 풀릴 때까지 평생을 생각하겠다는 여유를 가져야 한다. 시간에 쫓기지 않는 여유로운 마음가짐으로 몰입하게 되면 몸과 마음이 느긋해지고, 집중력이 유지되어서 깊은 몰입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따라서 약한 몰입 1단계의 목표는 힘을 빼고 이완된 상태에서 느긋하고 쉬는 듯이 생각하는 슬로싱킹을 익히는 것이다.

 

#의도적인 몰입 #뇌에게 요구하기

우리 뇌는 요구한 대로 발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뇌에게 무엇을 요구하느냐가 중요하다.

미지의 문제에 도전하고 성공하는 경험을 반복하는 몰입학습법이 바로 뇌가 차으이성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방법이다. 그러면 뇌에게 어떤 능력을 요구해야 하는가? 바로 창의성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발달시켜달라고 요구해야 한다. 내가 싫어하는 과목일도 그 과목을 공부할 때는 그 과목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왜 그 과목이 중요한지 이유에 대해서 생각하면 더 좋다. 애정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몰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죽음과 가장 반대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하루하루가 생동감 넘치고 삶의 희열로 꽉찬, 그리고 작지만 내가 가진 모든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살아 있음이 나의 유일한 기회이기 때문이다. 일이 삶의 수단이 되는 것보다 그 자체가 삶의 목적이 되어야 보다 의미있고 삶다운 삶을 살 수 있다.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자신이 뇌의 주인이 되어 문제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사고를 하는 생각하기를 해야 내 두뇌의 잠재력을 십분 활용할 수 있고 지고의 즐거움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어떤 일을 하더라도 ‘혼신으로 노력했고 지긋지긋했다’ 가 아닌 ‘혼신으로 노력했지만 좋았다’ 라는 경험으로

‘잘하는 것’이 아니라 ‘즐겁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항상 목표를 가지고 하는 일에 있어 무조건 한다, 최대한 한다 라는 생각으로 무작정 달려들었다. 

그러다보니 나에겐 그 과정이 괴롭고 굉장한 스트레스로 다가왔다. 

그리고 마침내 목표에 이르면 이제 그만 안녕! 완전히 안녕! 하는 식으로 

내가 혼신을 다했던 과정을 지긋지긋했던 과정에 대한 경험으로 스스로 인식했다.

이제 ‘빨리’, ‘잘’ 이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생각하는 행위는 골치 아픈 활동이라는 선입견을 깨버리자.

슬로싱킹이 문제 해결과 아이디어 획득에 더 유리하다.

 

나는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생각하는 행위를 좋아하지 않았다.

책에서 말하는 대로 생각하는 행위를 골치 아픈 활동이라고 간주해버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그 선입견을 깰 수 있었다.

생각이 얼마나 우리를 창의적이고 뛰어난 문제해결능력을 갖게 만드는 지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책에서 이야기 하는 ‘슬로싱킹’ 즉, 생각의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오랜 시간 생각과 씨름해도 쉽게 지치지 않는 사고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할 때에는 어떻게 하면 되는가? 가 아닌 왜 그렇게 되는가? 를 생각하기

목표 설정 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여부는 생각하지 않기. 결과가 어떻든 그저 내가 이 과정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자세로 임하기

생각할 때 심리적인 부담감 갖지 않기. 마음을 편하게 가지려고 노력하기

몰입에 들어가기 전 충분한 시간을 두고, 천천히 생각하기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거나, 챗지피티로 해결 방법을 찾으려고 하는데 그보다 스스로 생각해서 해결해보는 경험을 쌓기

일요일 저녁부터 월요일에 출근했을 때 내가 해야 하는 일들에 대해 의도적으로 생각하기, 월요일 아침에 출근 준비를 할 때에도, 출근길에도 업무에 관해 생각하기

몰입의 6단계를 내 생활에 적용해보기. 우선 약한 몰입 1~3단계를 위해 수학 문제집을 사서 활용해보기.

평일에는 30분 이상 운동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109. 우리가 어떤 일을 하더라도 최선을 다하되, 혼신으로 노력했고 지긋지긋했다 라는 경험은 피해야 한다. 대신 혼신으로 노력했지만 좋았다 라는 경험을 해야 한다. 그래야 다시 그 혼신을 되풀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9. 반드시 오르막 혹은 힘든 시간 후에는 짜릿한 성공을 경험하는 것으로 마무리 되어야 한다.

144. 대충 생각하거나, 생각하다가 깨닫지 못할 경우 곧 그만두어 버린다면 천년이 지나도 깨닫지 못할 것이다.

198. 몰입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목표가 명확해야 하고 둘째, 일의 난이도가 적절하고 셋째, 결과의 피드백이 빨라야 한다고 했다.

205. 나는 몇 달이고 몇 년이고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그러다 보면 99번을 틀리고, 100번째가 되어서야 비로소 맞는 답을 얻어낸다.

381.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몰입을 시도할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되는가? 라는 물음보다는 왜 그렇게 되는가? 하는 물음이 훨씬 더 절실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859. 우리 뇌는 요구한 대로 발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뇌에게 무엇을 요구하느냐가 중요하다.

860. 미지의 문제에 도전하고 성공하는 경험을 반복하는 몰입학습법이 바로 뇌가 차으이성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방법이다. 그러면 뇌에게 어떤 능력을 요구해야 하는가? 바로 창의성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발달시켜달라고 요구해야 한다.

864. 애정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몰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870. 천천히 생각하기에 의해 몰입에 들어가는 것은 마음의 산책을 하는 것과 같아 심리적인 부담이 없고 습관이 되면 오히려 즐겁게 실천할 수 있다. 천천히 생각하기는 자율적으로 몰입도를 올리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자율적으로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올리는 방법이 바로 천천히 생각하기다.

892. 죽음과 가장 반대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하루하루가 생동감 넘치고 삶의 희열로 꽉찬, 그리고 작지만 내가 가진 모든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살아 있음이 나의 유일한 기회이기 때문이다.

905. 생각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거나 아이디어를 얻는 데 유리하고 문제와 오랜 시간을 씨름할 경우에도 쉽게 지치지 않는다.

905. 문제가 쉽게 풀릴 것 같지 않으면 우선 마음을 편하게 가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시간에 쫓기지 말고 문제가 풀릴 때까지 평생을 생각하겠다는 여유를 가져야 한다.

913. 진짜 천재는 자기 스스로 생각해서 그 방법을 찾아낸 사람이다. 항상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939. 아버지는 바둑판 네 귀퉁이에 묘수풀이를 서너 개 놓고 밖에 나갔다. 빨리 푸는 것보다 정확하게 푸는 게 더 중요하므로 수읽기를 할 시간은 필요한 만큼 충분히 가지라고 했다. 그래서 쉬운 문제라도 2~3번 다시 확인하곤 했다.

1100. 일이 삶의 수단이 되는 것보다 그 자체가 삶의 목적이 되어야 보다 의미있고 삶다운 삶을 살 수 있다.

1170. 시간에 쫓기지 않는 여유로운 마음가짐으로 몰입하게 되면 몸과 마음이 느긋해지고, 집중력이 유지되어서 깊은 몰입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따라서 약한 몰입 1단계의 목표는 힘을 빼고 이완된 상태에서 느긋하고 쉬는 듯이 생각하는 슬로싱킹을 익히는 것이다.

1180.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행위를 골치 아픈 활동이라고 간주하고 이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이 선입견을 깨야 한다.

1213. 의도적인 몰입은 직장인의 월요병을 해경할 수 있는 매우 탁월한 방법이다. 일요일 저녁부터 월요일에 출근했을 때 내가 해야 할 일들에 대해 의도적으로 생각하면 된다. 이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려면 월요일 아침에 출근 준비를 할 때도, 출근길에도 업무에 관해 생각하는 것이다.

1218.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자신이 뇌의 주인이 되어 문제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사고를 하는 생각하기를 해야 내 두뇌의 잠재력을 십분 활용할 수 있고 지고의 즐거움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다.

1331. 문제를 설정했다면 그 후에는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여부는 전혀 생각하지 말고, 이 과정에 내가 최선을 다하겠다라는 자세로 임해야 몰입도를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된다.

1357. 직장에서의 악순환은 일을 잘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서 일하기가 싫어지고, 그러면 일의 능률이 떨어져서 성과가 낮아지고, 결국 상사에게 꾸지람을 받아 또 스트레스를 받으니 일하기가 점점 더 싫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면 직장생활은 점점 권태에 빠지게 된다. 몰입에 이르는 여섯 단계를 습득하면 이런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다.

1369. 어떻게 살아야 할까라는 문제를 화두로 일주일간 몰입을 한 적이 있다. 많은 생각이 떠올랐지만 결국 단순한 두 가지 결론을 내렸다. 하나는 행복하게 살자는 것이고 다른 하는 해야할 일을 최선을 다해 잘하자 라는거다.

1370. 해야 할 일을 즐기며 행복하게 사는 방법. 나는 그 해답을 몰입에서 찾았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빵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