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잊기 전에 기록하기

 

베타투자 → 연금저축 (월50기준/ 공제 16.5%)

  • 미국주식 (SPY)
  • 미국 장기국채(TLT아멕스)
  • 금(GOLD)
  • 미국 초단기국채(현금BIL아멕스)

     

    일년에 한번씩 리밸런싱을 통해 운영(오른걸 팔아서 떨어진것을 산다= 비싼걸 팔아서 싼것을 산다)

 

* 연금저축 → 가입자격 : 제한없음/ 여러계좌 소유가능- 소득 없어도됨, 연령 무관함 (세액공제 계좌/ 중도인출계좌) 

                      납입한도 : 1800만원 (IRP합산)

                      세액공제 :   600만원 (IRP합산 : +최대300) = 총900까지 

                      연금수령 : 5년이상 가입, 만 55세 이후부터, 10년이상을 걸쳐 수령가능함.

                                       연금수령 시점이 꼭 만 55세부터 하지않아도 됨/ 계좌를 더 활용하여 노후자금 마련해도됨

  

                      1) 돈을 넣기만 해도 소득에 따라 13.2 ~16.5% 세액공제 적용

                      2) 55세 이전/ 중도 인출 시 (기타소득세 16.5% 부과)→ 소득공제 받은 부분(금액)

                      3) 세액공제 받지않은 금액 (비과세) 인출 시 : 세금 내지않음/ 패널티 없이 자유롭게 인출이 가능함.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은, 본인이 세후 소득으로 납입한 것이므로.

                      4) 특혜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됨 (금융소득 연2천만원 이상인 경우→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됨.)

                                    건강보험료 인상제외 (지역가입자인 경우)

                      5) 매매차익 (운영수익) →인출 시 과세

                          연금저축계좌 내에서 발생한 수익(매매차익, 배당수익)은 55세이전에 인출하면 기타소득세 16.5%가 부과됨. 55세 이후 연금으로 인출시, 연금소득세 (5.5%) , 80세 이상 (3.3%) 낮아진다! 

 

* ISA → 가입자격 : 만19세이상 (근로소득 있는 만15세이상)

              계좌 만기 해지시 일반형(200) 또는 서민형(400)만원 까지 “비과세” (매매차익)→ 만들때 10년이상 추천

              비과세 초과분 9.9% 분리과세 적용 (매매차익)

              *분배금 세율 기존 9.9% --→ 15% 적용

              1년에 2000만원씩 투자한도 올릴 수 있음, 2000만원씩 5년 / 최대 1억원 (일단 만들어 놓아라!)

              ISA계좌에서 연금저축으로 이전한 금액은, 연금저축 18000만원+@ 가능하다!

 

               1) 기본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 연 600만 원 (근로소득 1.2억 원 이하, 종합소득 1억 원 이하 기준)

                   연금저축 이체 시 세액공제 정리

               2) ISA 만기금액을 연금저축으로 이체할 경우

                    추가로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 추가됨
                    즉, 연금저축 600만 원 + ISA 이체 300만 원 = 총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3) 세액공제율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13.2%
                    (ISA 이체 300만 원 추가분도 동일한 공제율 적용)

 

               4) 최대 세액공제 혜택
                   (900만 원 × 16.5%) = 최대 148.5만 원 공제
                   (900만 원 × 13.2%) = 최대 118.8만 원 공제

                   ISA에서 연금저축계좌로 이체하면 세액공제 한도가 600만 원 

                   → 900만 원으로 증가, 해당 금액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 IRP → 가입자격 : 소득있는 분 (근로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중도인출 어려움 (가입은 선택적인 부분/ 진짜 노후연금 이라고 생각하면됨)

              *** 공제혜택을 많이 받아야 하는 분들은 필수.

              연금수령연령/ 소득세/ 납입한도 (=연금저축계좌 동일함)

              *** IRP 계좌에서 이전하는 금액을 크게 만들어서

                     연금저축계좌에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을 크게 만드는것이 포인트!!! 

                     (커질수록 은퇴시점이 앞당겨진다.) 

 

**** 강남아파트 같은 주식을 매수하자!!!

         S&P500 ETF (연평균 10% 수익률 → 배당금 더하면 11% 수익률)

         강남아파트      (연평균   5% 수익률)

         서울아파트      (연평균   4% 수익률)

 

*** 단순 적립식 투자가 마켓타이밍 보다 <성과가 더 우수하다>

*** 물가 상승을 감안한 투자로: 10년동안 S&P500 투자를 했을 때 : 손익비율

       --→수익이 좋았던 비율 : 약 86.6%

       --→오랫동안 보유 할 수록 수익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무리 고점에서 매수해도 기다리면 결국 수익이 난다.

 

2) 나에게 적용할 점 찾기

 

  1. 연금저축계좌 : 50씩 저축하기 (프리랜서→ 자영업(과세) : 공제혜택 & 노후자금 인출가능 금액 용도)

                            --→ 1~2년 사이 샾 운영시, 공제혜택 미리 준비하기.

    연금저축계좌 : 50씩 저축하기 (비과세 : 공제혜택보다는 노후자금으로 인출가능 금액을 높이자)

  2. ISA계좌         : 100씩 저축하기 (60세 은퇴시기 대비하자)
  3. IRP계좌         : 20씩 저축하기   (인출어려운 구조-→ 현실 노후자금 마련계좌로 생각하자.

     

  4. 연금저축&ISA 계좌 --→ S&P500 ETF (3년 맞춤형 목표)
  5. ISA계좌 --→ 서민형으로 바꿀 수 있으면, 신청 GOGO!!

 

 

*** 어려울 때 : 멈추지말고 금액을 적게 잡아서 진행하자!!!!!!!!!!!

*** 알파투자 : 손해보지말고 길게보고, 조금씩 ETF로 옮기기 ㅜㅜㅜㅜㅜㅜㅜㅜ

*** 잃지말고 투자하자.


댓글


꽃경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