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부린이에게 부동산 투자 인사이트를 주신 망구99님께 감사드립니다.
이번 3주차 강의에서 제가 느낀 점과 적용해보고 싶은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이클이 있기에 언젠가 상승장을 맞이 할 텐데 이때 나의 수익률을 정하는 건 '내가 어떤 단지를 정했느냐'입니다. 나에게 의미있는 수익률을 가져다 주는 물건은 좋은 물건, 즉 선호도가 높은 물건입니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좋은 단지까지 고려해볼 수 있다는 말이 와닿았고, 물건을 보는 눈을 높여 기회를 잡아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여러 가지 입지 요소를 따져 데이터를 가공하고 분석하는 데만 그쳐왔습니다. 다음 세 번째 임보에서는 지도 위에 올려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가공해보고 싶습니다.
D지역은 학군으로 입지 가치가 있어 연식을 뛰어 넘는 생활권이 있었습니다. 이런 뚜렷한 특징을 가진 생활권이 있는지 각 지역별로 잘 분석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내로라할 입지요소가 없는 곳은 환경, 연식이 좋은 곳이 투자 우선순위가 높다는 것을 명심해야겠습니다.
시세트래킹은 말만 들어봤지 그 필요성과 하는 방법을 배워본 적이 없습니다. 망구99님께서 단지 선정 방법과 기회를 잡는 방법 등 여러 팁을 알려주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이번 달 내에 제 앞마당 2개를 엑셀로 정리하여 트래킹할 수 있도록 해 보아야겠습니다.
1호기를 한다면 수익이 적어도 리스크가 적은 곳에 할 거라는 마음이 컸습니다. 그러나 리스크가 없고 수익이 큰 투자처는 없다는 망구님의 말씀에 뼈를 맞았습니다. 주식을 잠깐 했을 때 상승, 하락을 겪더라도 결국 싸게 산 것이 수익을 준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부동산에도 적용한다면, 가격이 쌀 때 리스크를 방어하며 가져가는 것이 나중에는 좋은 투자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