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GRIT 그릿
2. 저자 및 출판사: 앤절라5. 더크워스 /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5.02.25~25.03.03
4. 총점 (10점 만점): / 9점
책속에서 소개하는 인물이 많아 헷갈려서 집중도가 떨어지는게 살짝 아쉬움
STEP2. 책에서 본 것
사람들은 흔히 말하는 성공한 사람들을 봤을 때 재능이 뛰어난 사람이라고 말한다. 성공한 사람들의 그동안 노력한 과정은 보지 못한채 그들이 성취한 결과만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취는 재능도 필요하지만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성취 = 재능 * 노력2
위의 등식으로 봤을 때 다른 사람들보다 재능이 4배로 있더라도 노력을 반밖에 하지 않으면 보통사람들과 같다.
그리고 재능은 보통사람들고 비슷하게 1만있더라도 노력을 2배하면 성취는 4배가 된다.
이는 곧 성취는 재능보다는 노력에 의해 좌우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나는 재능있는 사람을 동경했다.
영어잘하는사람, 글쓰기를 잘하는사람. 그림을 잘하는사람…
그들이 이렇게 잘하는 사람이 되기까지의 과정은 생각지않고, 선천적으로 타고난 재능있는 사람으로 생각하고 나와는 다른, 내가 범접하지 못하는 사람들로 여겨왔다.
그러나 그들도 피나는 노력으로 거기까지 올라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나도 목표를 가지고 열정을 가지고 끊임없이 노력한다면 그들과 같이 될 수 있다.
그들보다 재능이 부족하면 노력을 더하면 되는 것이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나는 학창시절 성적이 잘안나오는 과목이 있거나, 직장에서 적당히 어려운 업무가 주어질 때
그것을 성취하려고 끈질기게 노력한다. 그러나 어느 정도까지 성취했다 싶으면 멈춘다.
그 이상의 수준까지 올려가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그릿에서 전문가들은 오래 연습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적인 연습을 수천, 수만시간 동안 한다고 한다.
그들이 잘하는 부분에 집중하기 보다는 뚜렷한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고 한다.
나는 약점을 개선하기보다는 기존에 하던대로 해왔던것이다.
항상 중간정도의 성과를 내왔던 것이다.
회사에서 계속 해왔던 일상적인 업무는 후배들에게 맡기고 내 직책에 맡는 도전적인 업무를 적극적으로 해보고자 한다. 당장은 힘들고 어려울 수 있지만 그 과제에 몰입하고 열정적으로 끈기있게 노력한다면 못할 것이 없다는 자신감이 생겼다.
투자에서도 마찬기지다. 임장을 하고 임보를 쓰다보면 어려운 부분이 꼭 생긴다.
그러나 그것을 해결하려고 노력하기보다는 완수한다는 합리화로 그냥 넘어간적이 많다.
부동산에 들어가는게 무서워 매임을 건너뛰고 임보를 마무리했다.
어려운 것이 있더라도 작은부분부터 의식적인 연습을 통해 그게 더 이상 어려운일이 아니게 될 수 있을때까지
의식적인 연습을 해야겠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성취 = 재능 * 노력2
모든 완전한 것에 대해 우리는 그것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묻지 않는다.
우리는 마치 그것이 마법에 의해 땅에서 솟아난 거서럼 현재의 사실만을 즐긴다.
아무도 예술가의 작품 속에서 그것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보지못한다.
우리의 허영심과 자기애가 천재 숭배를 조장한다. 왜냐하면 천재를 마법적인 존재로 생각한다면 우리 자신과 비교하고 우리의 부족함을 느끼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누군가를 신적인 존재로 부르면 우리는 그와 경쟁할 필요가 없어진다.
소질과 타고난 재능에 대해 말하지 말라!타고난 재능이 거의 없어도 위인이 된 이들이 여럿 들수 있다.
그들은 탁월한 솜씨를 배워서 천재가 되었다. 그들은 모두 유능한 장인답게 작은 부분을 제대로 만드는 법부터 진지하게 배운다음 전체를 구성하는일게 조심스럽게 도전헸다. P67~69
전문가들은 더 오래 연습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의식적인 연습’을 수천, 수만 시간동안 한다.
첫째, 그들은 도전적인 목표를 설적하고, 전체 기술 중에 아주 일부분에 집중한다. 그들이 잘하는 부분에 집중하기 보다는 뚜렷한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P167, 168
전문가들은 가능한 한 빨리 자신의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싶어한다. 그들은 자신이 잘한 부분보다 앞으로 고쳐나가야 할 틀린 부분에 더 관심이 많은 것이다.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는 즉각적인 피드백만큼이나 매우 중요하다.P169
전문가들은 처음부터 다시 반복, 또 반복한다. 처음에 설정했던 목표를 마침내 완벽히 달성할 때까지, 이전에는 고전했던 부분을 나무랄 데 없이 능숙하게 해낼 때까지, 신경쓰였던 기술 부족이 무의식적인 자심감으로 바뀔 때까지 반복한다.P170
댓글
개경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