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투기초 3강은 D와 E 지역분석 및 중소도시를 투자자의 눈으로 보는 방법을 알려주셨다!
이 지역의 이 단지가 왜 선호도가 높은지 생각하는 습관을 갖는게 중요!
가격 기준이 되는 단지를 중심으로 해당 지역의 가격을 판단해볼 것~
(여길 보니 C지역은 비싼거구나 생각이 더욱...)
생활권 정리 후 1페이지 정리를 습관화 할 것-> 생활권별 대표단지 및 시세도 같이 정리해보자
공급을 분석할 때는 전세지수가 떨어지거나 오르지 못했던 시기를 묶은 다음 판단할 것~
입주캘린더에 단지도 써놓자~(다 쓰기 힘들면 1000세대 이상 정도)
시기가 정해져있지 않은 분양예정 물량도 꼭 확인해서 꼼꼼하게 공급 분석 완성하는 것이 중요~
선호도 있는 단지 전세매물 추이를 트래킹해서 확인할 것(얼마만에 소진될지)
좋은 입지의 신축 입주는 주변 단지 전세가격 하락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신규투자 및 전세 재계약 시기의 입주 단지 물량 및 위치 미리 확인하여 전세입자 구하는 시기 겹치지 않도록 셋팅!!!
튜터님은 마지막에 꼭 정리하는 장표를 만드시는군~ 이것도 벤치마킹 할 것
단지임장을 꼼꼼하게 해야하는 이유는 단지의 개별적인 특징이 선호도와 가격에 영향을 주는 이유를 알기 위해서!!
중소도시에서 투자하지 말아야 할 단지의 특징도 정리해주셨는데..
안 좋다고 재끼면 노노~ 직접 가보고 눈으로 보고 느껴볼 것!
가격과 입주물량을 통한 투자 포인트 부분이 가장 좋았는데~
리스크대비 기대수익을 어떻게 가늠할 수 있는가를 알 수 있어서 눈이 번쩍 뜨이는 것 같았다
리스크가 큰 상황에서는 싸고 좋은 것을 선별해서 봐야할 시기!!!
실제로 역전세 가능성이 높은 물건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한 종잣돈이 있는 것이 아니면 투자를 못 이어나갈 가능성이 높다(기회비용)
같은 물건이라도 리스크, 기대수익이 다 다르므로(망하게 할 수도 있음) 나에게 맞는(투자경험, 자산상황, 향후 모을 수 있는 종잣돈 등 감안) 투자를 실행할 것!
앞으로도 애매모호한 상황에서 투자 결정을 해야할 때가 계속 올텐데..
이때 어떤 선택을 해야할지 스스로 생각해보는 것이 투자자로 성장하는 데에 아주 중요하다고 말씀해주셨다
그리고 결정을 했으면 그에 맞는 행동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
시세트래킹은 임장을 투자로 연결 짓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
앞마당이 한 개여도 반드시 트래킹 해야하고, 매임을 못했어도 트래킹 가능하니 매임 못했다고 포기하지 말자!
트래킹을 해야만 투자할 단지가 많다는 말을 들었을 때 공감이 된다고... 맞다.. 그동안 이 말을 들으면 나만 모르는건가 넘넘 답답했다 ㅠㅠ
그리고 판단할 땐 보수적으로 판단하는 것 필요~ 희망회로 금지!!(삐끗하면 망함 ㅠ)
마지막으로 어떻게 꾸준함을 가능하게 할까에 대해 튜터님의 7가지 방법을 알려주셨는데 나도 이와 비슷하게 꾸준함을 가능하게 하는 루틴을 만들어봐야겠다!!!
bm) 투자포인트: 리스크와 기대수익 계산해볼 것
임보에 순서도 그려서 해당 지역 대입해볼 것
임보 마무리에 '시세트래킹 단지 선정'하여 마무리 할 것!
임보 마무리에는 항상 최종 정리를 할 것
댓글
와이키키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