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결과를 만들어내는 투자자'가 되고싶은
'혼놀마녀' 입니다.
지기반 3주차 강의는 '공급리스크가 예정된 지역에서의 투자기준과 방법'에 대해서
월부 '임보여신 망구님'의 강의였습니다.
중소도시 D,E지역분석으로 시작하여 투자로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서
일단 캡쳐... 그래프
임보작성을 하면서, 여러 부동산 앱을 참고하게 되고, 자료와 그래프를 많이 보게 되었습니다.
일단 임보 작성방법에 하라고 해서, 캡쳐해서 붙여넣고, 전고점과 전저점만 확인하고,
그래프가 가리키는 그 이상에 것들을 이해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번 망구님에 강의를 통해서 설명해주신 것을 토대로
앞으로 그래프를 보면서 ㅅㅎㄷ를 파악하고,
단지들의 특징과 저가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조금은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프와 친해지기.
계속되는 의문... 인구 감소
사람들이 지방투자, 특히 중소도시에 두려움을 느끼는것 중에 하나가 '인구 감소'일꺼라 생각됩니다.
고령화,저출산...으로 인한 지방소멸이 어쩌구저쩌구... 많이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지역분석 할때 수요=인구이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인구가 감소해서, 여기는 투자해서는 않되... 이렇게 접근하기 보다는
'중소도시의 'ㅅㅇㅋ'를 이해하고, 선호하는 'ㄷㅈ'를 싼가격에 사는것이 중요!!'
하다는 것을 데이터를 통해서 인구감소와 가격변화를 설명해주셨습니다.
'인구감소가 집값하락으로 바로 연결되는것이 아니다'!!!
* 광역시가 인구수가 많아서 수요리스크가 중소도시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이 두지역은 오히려 직장이 탄탄하여 외부수요도 끌어들이고 있고,
근처 광역시로 인구를 빼앗기는것도 아니다.
막연히 광역시가 인구수가 많으니까, 더 크니까 좋아~~ 이런 개념보다...
각각의 지역을 정확히 분석하고, 이 후 선호하는 ㄷㅈ와 ㄱㄱ에 집중하자.
리스크 대비하기.
D,E 지역에 가장 큰 리스크... 많은 물량이 쏟아진다... 공급리스크
우선 과거 데이터를 살펴보며, 어떤 리스크가 있을지 유추, 그 리스크를 내가 얼만큼 감당할수있는지,
나에 상황(종잣돈, 투자경험...)을 검토하고, 투자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
*입주캘린더 작성하기 : 이전까지는 이 지역에 공급이 얼마나있는지 수치로만 간단하게 확인했는데,
그 지역, 어디에 공급이 얼만큼 있는지 좀더 자세히 살펴보는것이 중요하다는걸 깨달았다.
임보에 추가시키자... 배우면 배울수록 임보에 추가할 내용들이 많아지는구나...ㅎㅎㅎ
내가 어디까지 소화를 잘 시킬수 있을지... 의문이지만... 일단 하자!!!
앞마당에 '정찰병' 세우기.
주식투자를 할때 관심있는 회사가 있을 경우, 소량으로 '정찰병'을 보낸 적이 있는데,
시세트래킹을 이 개념으로 설명해주셔서 너무 와닿았던 부분이었습니다.
핸드폰으로 주식창을 째려보던 습관을 그대로, 시세트래킹 파일이랑 친해지자.
*시세트레킹을 해야지해야지...계속 미루고만 있었는데, 이제 그만~~~
앞마당이라고 말하기 부끄러운 수준에 임보를 다시 꺼내서, 시세분석을 수정하고,
시세트래킹을 채워보자.!!!
꾸준히 투자 할 수있는 원동력
사람들이 많이 질문하고, 망구님역시 선배님한테 물어보고, 5년동안 투자자의 길을 걸어오면서
느꼈던 '꾸준함'에 대하여, 예기해주셨습니다.
망구님에 '꾸준함을 가능하게 한 행동과 생각들 7가지'를 저에게 대입해서,
앞으로 월부안에서 꾸준히 성장하는 투자자가 되기위한 나만에 원동력을 찾아보겠습니다.
1.원씽 : 평일 임보1장, 주말 1하루 임장. 3년동안 루틴으로 만들자.
2.효능감 : 임장,임보, 투자자로써 성장하기 위해 경험과 배워야될것, 아끼지말자.
3.환경 : 투자공부 할수있는 환경만들기. (도서관, 스터디카페 가기.)
4.마인드 : 하루 3가지 감사하기.
5.신뢰 : 가족과 회사... 노력하자.
6.행복버튼 : 임장 가는날은 달달한것 맘껏 먹으며, 당충전을 충분히 해줬는데...
인제 이게 말을 잘 않듣는다... 다른 것을 찾아보자.
7.휴식 : 요새 나에게 너무 많이 져주고있다. 다시 맘잡고, 나를 이겨보자!!
댓글
혼놀마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