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투기 1주차 수강후기

<요약>

 

1-1강 

  • 서울+경기 하락장 : 22년 9월~25년 2월

    투자 범위 넓혀야 한다 : 좋은 것 ~ 안 좋은 것까지 눈을 넓혀야 서울 투자가 가능하다. 

    투자 가치가 있는지 아닌지 검증해봐야 한다. 

  • 현재 시장 상황 : 상급지 급등, 수도권과 지방 하락 → 혼재

    가격 등락을 반복하며 보합&약세를 일정 기간 이어간다.

    전세가가 등락을 반복하며 상승한다.

    외부변수(금리, 대출)에 의해 거래가 많이 될 수 있다.(실거래 수요)

  • 서울 투자의 의미 : 쌀 때 , 내가 알고 있는 것 중에서 좋은 것을 사는 것

    투자 범위를 넓혀 많이 오른 곳이 아닌 아직 덜 오른 것들 중 가치 있는 것, 선호도 있는 단지를 찾아 투자를 하라.

    가치대비 저평가 된 물건을 감당가능한 선에서 사고, 한 채씩 늘려나가면서 10년을 기다리면 투자한 아파트로 수익을 낼 수 있다.

  • 투자하려면, 가치를 비교할 수 있는 안목과 현장대응 능력이 있어야 한다.(실력)
  • ‘투자를 잘한다’ = 좋은 투자 → 투자 → 실력up → 좋은 투자 :: 필요한 노력을 해야 한다.
  • 입지 = 땅(위치) + 지역 내 위치(선호도=수요) +평형 +연식 +세대수

 

1-2강 

  • 서울 25개구 급지별 분류와 위치(숙제: 3번씩 그려보기)
  • 강남권
  • 하급지 대장 vs 상급지 구축

    1. 입지 가치 비교

    2. 투자금 고려

    입지가 좋은 구축, 입지가 덜 좋은 신축 투자는 둘 다 의미가 있으나 전세가가 높아서 투자금이 덜 들어가는 것은 신축 쪽이다. 중요한 것은 같은 투자금으로 투자한다고 했을 때 어느 쪽이 더 선호도가 있는가?이다.

    둘 다 선호도가 있다면 입지가 좋은 쪽, 한쪽이 선호도가 떨어진다면 선호도가 좋은 쪽을 선택하면 된다.

     

<배운것>

현재 부동산 시장에 대한 자모님의 분석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상급지는 급등하고 수도권과 지방 시장이 하락해 가격이  혼재되어 있는 시장에선 투자 범위를 넓혀 좋은 것부터 덜 좋은 곳의 선호단지까지 넓게 보아야 투자가 가능하다는 것.

 

<적용점>

좋은 곳이 좋아 보이는 전형적인 초보자 마인드를 버리고, 지역을 넓혀서 아직 덜 오른, 가치 있고 싼 물건을 찾으려는 노력을 해야겠다. 이번 한달간 마포구 내에서도 투자후보 단지들을 추려내고 투자 대상 단지들을 꼭 남기자.

지역내 선호도가 가장 좋은 생활권의 좋은 단지가 아니더라도(이미 가격이 오른 곳이 많다), 덜 오른 곳의 선호도가 있는 단지들을 찾고 입지를 분석해 투자할 수 있는 단지를 추려내야겠다.

 

 

 


댓글


투명혀니user-level-chip
25. 03. 12. 23:40

깔끔정리 멋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