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당근거상] 혼자서 읽어본 열기 추천도서 #자본주의

  • 25.03.10

 

1. 책 제목:  자본주의

2. 저자 및 출판사: EBS 미디어 및 자본주의 제작팀

3. 읽은 날짜: 25.2.17~3.7

4. 총점 (10점 만점): / 8점
 

 

STEP2. 책에서 본 것

우리의 통화시스템에 빚이 없으면 돈도 없습니다.

빚에 대해서 너무도 순진하게 생각해왔던 우리에게는 매우 충격적인 이야기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은행이 돈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의 차원이 아니다

약자를 공멸로 몰아가는 비정한 원리다

 

과거에는 근로자들이 회사에서 일을하고 일하면서 만들어내는 상품과 서비스가 부의 근원이 되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실제 노동력이 돈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돈이 돈을 만드는 사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바로 투자라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하지만 무엇에 손을 대면 안되는지 모르고 덤비다간 손가락이 잘리기 십상이다 조심해야 한다.

금융열기로 인해 돈을쉽게 벌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돈만 넣으면 두배가 된다는 유혹 그럴때 경계해야한다.

 

은행은 금융상품을 팔아서 이익을 내는 회사다 주주를 신경쓰기때문에 이익을 많이내는구조로 가고있다

이에 은행은 이자를 많이주겠다고 하는 것은 다소 위험한 곳에 투자를 해서 수익을 많이 내야만 가능해진다 

그러나 위험한 곳에 투자한다는 것은 곧 돈을 잃을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우리의소비는 95% 무의식이 결정한다 일단 사고싶다고 욕망이 든 후에는 그것을 의식적으로 합리화 하는 과정이 발생한다. 저거는 내가 필요한거야 내가 지금 가지고 있는 물건은 망가졌고 새로운 물건이 필요해 라고 합리화가 일어난다.

 

소중한것을 잃으면 새것을 채우고 싶다. 슬프면 사람들은 평상시보다 소유한것을 더 낮은 가격에 팔려고 합니다. 그리고 물건을 살때는 시세보다 더 많은 돈을 지불하려고 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자본주의의 핵심은 “은행”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동안은 대출해주고 예적금 기능을 한다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시장 중심의 플레이어였던것일까 아니면 대리인일까?를 생각해봤다

왜 우리가 늘 일을해도 돈이 없는가!! 

마지막엔 애덤스미스 마르크스 케인즈에 따른 자본주의의 다른 이상향도 알수있게되어 재밌었다

 

STEP4. 책에서 적용할점

자본주의의 핵심은 돈이 돈을 버는구조 라는것

그런 처절하고 비정한 원리를 이겨내려면 투자를 해야한다

자산을 늘려서 자본주의 속에서 내가 이겨내야 한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한 나라를 정복해 예속시키는 방법은 두가지 하나는 칼로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빚으로 하는것이다. - 존 애덤스”


댓글


디그로그
25. 03. 10. 22:02

크 당근님 독서까지 멋지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