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오늘은 더 [집중해보자] 입니다
이번 강의는 D,E 지역에 대해 '임보여신님' 이신 망구 튜터님이 설명해주셨는데요
지난달 저의 임보BM 중 앞마당 원페이지 정리였는데 망구님의 글이 정말 큰 도움이 되었어거든요.
튜터님 정말 감사합니다(꾸벅)
https://cafe.naver.com/wecando7/4094969?tc=shared_link
↑
원페이지 정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신다면 요기를 클릭해주세요
올해 초 거주지역과 가까운 중소도시를 동료분들과 임장하면서 신축이거나 입지가 좋은 단지를 보면서
'우와 정말 좋네요 하지만 저는 이런 중소도시에 투자 안할거같애요' 동료분들과 얘기했던게 생각났어요
하지만 망구튜터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인구가 줄고 공급이 있는 중소도시에도 우리에게 충분히 좋은 투자기회를
줄 수 있다는 생각을 다시한번 갖게 되었어요.
튜터님께서는 비슷한 중소도시인 D, E 두 지역을 비교해가면서 설명해주시니 가보진 않더라도 조금은 더 지역에
대해 이해를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튜터님이 지역 내 천장가격과 생활권 천장가격을 반복해서 말씀하시는걸 들으면서
'0.0억이면 여기서는 이정도인데 D,E지역에서는 대장이라고?'
'0.0억이면 여기서는 좋지 않은 생활권인데 여기서는 가장 선호하는 신축을 살 수 있네'
제가 다니고 있는 임장지랑도 비교할 수 있어 재미있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지역마다 선호되어지는 요소도 다르지만 확실히 중소도시에서는 수도권, 광역시와 다르게 사람들은 연식을 대체로
선호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BM : 선호(상,중,하)하는 신,구축 파악하기
저는 지역에 공급물량이 많으면 역전세로 인한 리스크로 나중에 기회를 잡는다고 생각하고 임장을 했었는데요.
하지만 튜터님은 공급물량이 많다는 것은 리스크가 높지만 그만큼 기대수익이 높은 기회라고 말씀해주셨어요
(여기서 전제는 00이 낮은 경우 입니다)
그리고 이런 조건에도 투자가 가능한지를 고민하는게 투자자로서 성장하는데 정말 도움이 많이 된다고해요
공급물량은 리스크라는 생각을 반대로 저한테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하니 대충보거나 가볍게 생각해야 할 지역은
없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튜터님들은 항상 투자할 단지가 보인다라는 말이 더욱더 와닿더라고요.
BM :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을 고려해서 판단하기
댓글
맞아요! 저도 공급물량이 많다는 것을 이번에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어요. 우리 같이 분임갔던 지역도 사실 공급물량 덕분에 싼 시장이었던 것처럼요. 내 상황과 리스크 대비 수익을 반드시 잘 따져보고 결정 내리는 찐 투자자가 되어나가보아요 오늘님. 강의 들으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