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투기 22기 서울 아파트 잘4면 3대가 편하조 산성비] 내 자산을 지키는 관점에서 투자하기

안녕하세요

'젖은낙엽처럼 끝까지 살아남기' 가 

원씽인 산성비 입니다.

 

서투기 22기 43조 분들과 1주차 조모임 시간을 가졌습니다.

저는 참 운이 좋은 사람입니다.

이번에 함께하시는 모든 조원분들이

모두 진실되시고, 투자에 대한 의지도 굉장히 강하시고

투자에 대한 인사이트들도 다들 뛰어나시기 때문입니다.

 

조장으로서 나눠드려야 하나 

오히려 제가 많이 받고 있는 거 같아 죄송스러운 마음입니다.

 

이번 조모임에서는 총 4가지의 질문에 대해 대화를 나눴습니다.

 

첫째, 서투기를 듣고 서울/수도권투자에 대한 어떤 생각을 갖고 있었나요?

이 질문에 대해, 조원분들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였습니다.

 

응원해님: 내마기를 듣고 서투기는 투자방법을 배우는 줄 알았는데 입지를 배우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현재 투자상황을 보고 조급함이 들었다.

 

둥지맘님 : 작년 서투기때 서투기를 듣고 재수강 중인데, 불장 이후 집값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보고, 서울에 좋은 곳은 계속 오른다는 생각이 들고, 서울에 좋지 않은 곳은 투자하지 말라고 하셨는데 이제는 달라졌음을 알게 되었다. 본인투자금에 맞다면 투자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래도 조급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데이지님 : 지난 서투기때랑 분위기가 달라진 것을 느꼈다. 매물은 쌓여있고, 전세물량이 씨가 말라가는 시장인 듯 하다. 이게 기회인줄 몰랐는데 기회라는 생각이 들어 조급함이 생기게 되었다. 투자범위를 넓혀서 투자를 하라고 들어서, 기존에 급지에 연연했는데 이제는 예전자료 보면서 넓혀보기로 생각하였다.

 

레인님 : 선호도의 중요성을 강조해 주셨다. 급지에 국한되지 않고, 수요가 올라오는 지역에 대해 투자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울에 들어오는 사람들이 과연 어떤단지에 선호도가 있는가가 좋은 부분임을 알게 되었다. 

 

라하이나님: 선호도 파악시 전고점을 많이 봤는데, 레인님 말씀처럼 전고점보다는 사람들의 선호도를 파악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지금은 투자를 하지 못하더라도 선호도를 잘 정리해야겠다.

 

산성비: 저 역시 투자에서 중요한 부분을 전고점 대비 지금 싼가에 매몰되어 있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전고점을 돌파했다면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고, 그 이상을 갈수 있는 단지인지 아닌지 선호도 파악이 우선이지, 전고점을 돌파하지 못한 비선호단지나 비선호지역에서 투자하는 것은 투자자로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둘째, 이번달 임보를쓰고 임장을 갈 지역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이 질문에 대해, 조원분들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였습니다.

 

데이지님: 언덕이 심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옥수나 금호에 단지들이 전고점을 굉장히 높게 찍었고, 가격이 비싼데 왜 그런지에 대해 아직 명확하게 파악을 못하였다. 그 부분에 대해 이번달 동안 조사를 해보겠다.

 

둥지맘님: 선호도를 파악할 때 그 지역을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사람들의 생각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응원해님 말씀을 듣고 성동구는 교통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뉴타운에 관심이 많았는데 왕십리뉴타운에 학군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구나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구축은 2000년 이후부터는 입지가 좋은것 중심으로 보고싶다는 생각을 많이 하였다. 

 

레인님: 왕십리뉴타운보다, 성동구는 옥수나 금호를 더 선호도있게 보는구나. 한강프리미엄과 교통을 가장 우선적으로 보는구나를 알게 되었다. 서울숲 주변 녹지환경으로 인한 성수동의 성장도 성동구에서 중요포인트구나 라고 생각하였다. 

 

응원해님 : 투자관점보다 내집마련에 중점을 두다 보니, 가격에 맞는 단지에 관심을 갖고 있다. 성동구는 언덕위주로 되어 있고 학군이 좋지도 않지만 교통접근성 하나보고 가는 지역임을 알게 되었다. 

 

라하이나님: 직장은 성수에 주로 있고, 학군은 택지인지 아닌지, 그리고 교통은 2호선,3호선 선호도를 볼예정이다.

 

산성비 : 인구조사를 통해 품게된 부분, 특히 응봉동의 세대당 인구수가 높은 이유에 대해 앞으로 더 파악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성수동2가의 노인비율이 높다는 사실에 대해 궁금한게 많았는데 성수정비구역이 설정만 되었지 아직 원주민들이 살고 있고, 공업지역의 터전으로 오래살고 계신분들이 많아서 그렇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셋째, 가치성장투자&소액투자 중 어디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 조원분들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였습니다.

 

라하이나님 : 가치성장투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 투자코칭을 할 예정이며, 가치성장할 수 있는 단지를 잘 찾아 장기간 보유하여 추후 자녀에게 증여까지 생각중이다

 

응원해님 : 가치성장투자를 할 예정이다. 

 

데이지님: 가치성장투자. 소액투자를 하려면 단기간 보유하고 매번 들여다봐야하는데, 단타는 나랑 맞지 않다. 좋은것을 골라 오래보유하는 것이 좋다.

 

레인님: 둘다 관심. 1주택 가치성장투자, 그리고 2주택은 소액투자를 보고 있다. 시장에 따라 대응을 할 예정. 앞으로 투자를 할수 있을때까지 2가지 시나리오를 계속 가져갈 생각이다. 

 

둥지맘님: 가치성장투자. 서울에 한채 더 해서 거기서 나오는 전세금으로 인플레이션을 헷지하면 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다.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면서 좋은지역을 골라 투자할 예정

 

산성비: 저도 지금까지는 가치성장투자를 하기 위해 열심히 달려왔고, 결과물을 내었기 때문에 이제는 다음 스텝으로 넘어가 소액투자 해둔 중소도시 물건을 서울수도권으로 올리기 위해 소액투자에 집중하여 투자생활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넷째, 투자를 더이상 고민하지 말고 행동으로 옮겨야 함을 강조하셨다. 

그동안 투자를 가로막은 편견이나 고민이 무엇이었는지 이번달 바꾸고 싶은 것은?

이 질문에 대해, 조원분들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였습니다.

 

레인님 : 급지에 갖혀있었던 것 같다. 그러면서 기회를 놓쳤던거 같고, 선호도를 보면서 1호기를 하게 되었다. 선호도에 집중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향성이 되었다. 성동구에서 그런단지들을 열심히 찾을 것이다.

 

데이지님 : 가격이 오르고내리고 중요한게 아니라 내자산을 지키는 관점에서 투자를 하면된다. 전세만 전전긍긍하면서 점점더 밖으로 내몰릴수 있다고 생각해서 열심히 해야겠다.

 

라하이나님: 3,4급지에 투자가능단지가 있었지만, 더 좋은 것을 할수있지 않을까 생각했었고 그래서 투자까지 하지 못했다. 그런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제는 기회가 오면 저환수원리에 맞으면 투자할 계획이다. 

 

둥지맘님: 이번임장지에서 자산을 보유한다는 관점에서 투자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그게 가능한 아파트를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 좋은물건이 나오고 투자범위에 맞다면 돈을 좀더 주더라도 사야된다.

 

응원해님: 급지에 연연했는데 선호하는단지를 봐야함을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 이미 가격이 올라 아닌거 같다는 생각에 겁이 많았는데, 행동했음 좋았을걸 후회를 하게 된다. 오를까 내릴까를 생각하지 말고 자산을 보유한다는 관점에서 행동하고자 한다.

 

산성비: 저역시 투자를 미뤄왔던 것이 더 싸면 해야지라는 막연한 부분이 있었고, 그것은 투자실력에 대한 부족에서 온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호기를 하던 가치투자로 아쉬운 단지를 선택하건 투자를 하면 그게 끝이 아니기에 더 좋은게 나타나면 2~4년 보유후 또 갈아타기를 하려는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렇기에 지금 투자에 너무 연연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투자를 했느냐 안했느냐 입니다. 투자를 하지 않으면 결과도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모두가 독립된 투자자로서 스스로 투자에 대해 선택하고 결과를 받아드려야 함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오늘의 하이라이트 같았던 뒤늦게 참석한 참깨드레싱님의 의견을 듣고 

조모임을 마감했는데요

4년간 월부활동을 열심히 하셨고, 다주택자로서 삶을 살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스스로 다주택자로서 씨앗을 심은 것에 대해 묵묵히 가져가는 것이 진리다라고 생각하였으나

거기에 갇혀있지 않고 오히려 지금의 종잣돈과 부동산이라는 밭에 심어놨던 것들을 모아

서울에 다시 좋은것으로 옮겨심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느끼고 있다고 해 주셨습니다.

실제 경험담을 토대로 공유해준신 의견이라 더 마음속에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이번 조모임의 최종 결론은 

자산을 보유한다는 관점에서 투자한다는 것

이를 잘 지키면서 앞으로의 투자를 이어나가시길 응원합니다.

 

함께해주신 43조 분들에게 조장으로서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댓글


참깨드레싱user-level-chip
25. 03. 10. 08:45

부동산 투자는 역시 경험이 최고인거 같네요 경험이 많은 동료님들의 이야기를 듣질 못해 아쉽지만 후기글을 읽어보며 어떤 이야기를 하셨을지 한번 가늠을 해봅니다 ^^ 감사합니다 조장님!

레인user-level-chip
25. 03. 10. 10:51

후기를 다시 한번 읽으니, 어제의 시간이 꽉 찼구나 느껴집니다. 요약 잘 해주셔서 감사해요 조장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