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25년 3월, 서울에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진다
PART 2. 저가치 단지를 골라내고, 저평가된 단지 중, 내 투자금에서 가장 좋은 단지를 투자하게 된다.
PART 3. 공급 리스크에 대응하는 방법을 알고 투자에 적용한다.
< 임보에 적용한 점과 추후 비교평가 등 투자 단지 선별 시 반영할 점 등 >
- 사람이 몰리는 상승 분위기가 불면 타 지역으로 이동하여 비교평가
- 싫다, 좋다가 아니라 더 좋고 덜 좋다고 생각하기 (싸게 살 수 있을까?
- 매임 등 미리 부동산에 연락해두기, 추후 기회가 온다면 나에게 전화가 오게끔 미리 환경을 만들자
- 가격이 싸고, 덜 올랐고, 가치가 좋고, 기다리는 투자를 하자
- 지방은 싼 가격이 중요, 수도권과 서울은 선호도가 있고 가치가 있는 곳에 투자
- 전세가 하락 = 하락 분위기 = 매가 하락 / 반대로 올라가면 투자금이 많이 들어가므로, 타 지역 이동
- 선호 지역, 선호 단지를 과정으로 엄청 싸다면 비 RR에 공략을 하기
- 우리는 실거주가 아니다. 무조건 RR이거나 좋은 타입 등 비싸게 사는게 아니라, 싸게 사는 게 중요하므로 선호 지역, 선호 단지라면 비RR도 전략적으로 접근해보자
- 시세트래킹을 하면서 전 달 시세와 현 시세를 파악하여 상하분위기 파악 등 기회가 온다면 전수조사
- 투자는 당장의 시세 상승과 하락(매매가, 전세가)이 아니라 투자 물건을 쌓아가는 것, 가격 흐름에 신경쓰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