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4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5기 115조 데이지s]

  • 23.12.01

안녕하세요. 데이지s입니다.


마지막 4주차 강의에서는 일자리가 탄탄하며, 인구가 증가하지만 특징이 다른 두 지방도시 F, G를 다루었습니다.

이미 앞마당으로 만든 지역이었고, 투자를 검토하지만 번번이...잘 안 되었는데 이유를 알게 되어 뜻깊습니다.

리스크를 감수하지 않으면 투자 기회는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보수적이되, 포기가 아니라 협상하고 계량화한다), 단지별 선호도를 안다고 해서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 가격과 기회는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깨닫게 되었습니다.


BM

1.입지가 불분명한 지역일수록 연식은 더 중요하다. 반드시 더 나은 투자를 위해 더 좋은 연식, 더 나은 입지에 대안이 있는지 확인한다.

2.생활권 선호도 순위에 따라 전세가, 전세 매물 수가 결정되지 않는다. 구축 밭, 입지 떨어지는 곳의 유일한 신축 전세가 더 귀하고 가격이 높을 수 있다.

3.전고점이 가치를 말해주지 않을 수 있다. 생활권 내 1등은 가치가 덜하더라도 1등이기 때문에 가격이 많이 올라간다는 특징이 있으며, 가치가 있을지라도 급작스러운 시장 변화로 인해 지난 장에서 상승흐름을 타지 못했을 수 있다.

4.리스크를 감수해야만 더 좋은 투자를 할 수 있다. 완벽하게 준비된, 완벽하게 좋은 단지는 나에게 기회를 주지 않는다. 기회는 리스크를 감내하며 내가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5.12월 겨울 비수기, 더 많이 협상할 수 있는 시장이다. 가격을 2~3천만 원까지도 크게 깎기를 시도하라.

6.입주물량, 반드시 보수적으로 판단하라. 그래서 계약 시기를 잘 조정하고, 매수할 때부터 절대가를 잘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7.한발 더 나아가라.


댓글


데이지s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