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레버리지 독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3기 리치꿈돌이]

23.12.03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레버리지

2. 저자 및 출판사: 롭 무어, 다산북스

3. 읽은 날짜: 2023.12.2

4. 총점 (10점 만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1장. 레버리지 - 부의 지렛대를 만드는 힘]

#최소노력의 법칙 #아웃소싱 #vvkik전략

레버리지는 당신이 살아 있음을 느끼지 못하게 만드는 모든 것을 아웃소싱하는 기술이다. 레버리지는 당신의 목표와 비전에 따라 당신의 삶을 살아가는 태도다. 레버리지는 돈을 벌고 지속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당신의 가치를 우선하고 그 외의 모든 것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기술이다.

 

우리는 누구나 레버리지를 경험한다. 당신은 포식자 아니면 먹잇감이다. 고용자 아니면 노동자, 노예 아니면 주인, 리더 아니면 추종자다. 각 개인은 다른 개인을 섬긴다. 한쪽은 레버리지 하고 다른 한쪽은 레버리지 당한다. 당신은 레버리지를 사용해 다른 사람들의 돈과 시간을 얻을 수 있고, 반대로 누군가의 계획 속에서 레버리지 당하며 포기한 시간을 대신해 시간당 급여를 받을 수도 있다. 이 모든 것은 당신의 선택이다.

 

[2장. 새로운 부의 공식 - 젊고 게으른 백만장자들]

#80/20법칙 #복리의 법칙 #시간 기회비용

당신은 처음에 가장 낮은 성과를 얻기 위해 가장 열심히 일해야 한다. 이것은 공정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시간은 원래 공정하지 않다. 성과와 비례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마지막에 당신은 가장 적게 일하고 가장 높은 수준의 일을 수행하게 되고, 성과는 복리 효과로 증가할 것이다.

 

하룻밤 사이에 성공을 이룬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은 최대의 복리 효과를 위해 뿌리가 깊이 자리 잡을 때까지 시간을 투자한 사람들이다. 변화에는 엄청난 비용이 든다. 인내하고, 배우고, 가장 중요한 것을 지켜라. 복리 효과가 당신을 위해 일하게 해야 한다. ‘최대의 일과 최소의 결과’는 당신이 그 일에 더 오래 머무를수록 ‘최소의 일과 최대의 결과’로 역전될 수 있다. 최대한 빨리 역전되게 하는 것이 레버리지다.

 

[3장. 부의 진입로 - 당신의 경제적 운명을 바꿀 새로운 기회]

#인적 네트워크

훌륭한 사람들을 찾아내어 동료와 멘토로 만드는 것을 핵심 결과 영역KRA 중 하나로 추가하라. 그것은 훨씬 적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최대의 레버리지를 창출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4장. 후천적 부자의 탄생 - 타인의 가치를 돈으로 바꾸는 방법]

#리더십 #시스템 #인적레버리지 #피드백

돈이 당신을 위해 일하게 하라

당신이 돈을 위해 열심히 일할 수도 있고, 돈이 당신을 위해 열심히 일할 수도 있다. 당신이 돈의 노예가 될 수도 있고, 돈이 당신의 하인이 될 수도 있다. 시간을 돈과 바꿀 수도 있고 , 당신의 시간을 보존하면서 소득을 창출할 수도 있다. 개인의 선택지는 두 가지로 나뉜다. 레버리지 하거나, 레버리지 당하거나.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내가 그동안 살았던 방식이 레버리지 하기 보단 레버리지를 당하는 입장이 많았다는 것을 알았다. 비전도 목표도 없이 매월 나오는 월급에 매여 직장생활을 하며 다른 방식의 삶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부자는 나와는 관계없는 사람이라고만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나에게 가치 있는 일, 내가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나 자산에게 투자하며 살아야겠다. 이를 위해서 나보다 먼저 깨달은 사람들의 지식을 레버리지 하기 위해 독서와 강의듣기를 계속 해나갈 것이다.

그리고 나의 주변에 현명한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만들도록 노력해야겠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 항상 나의 성장을 위한 레버리지 방법을 찾고 실천한다.

1 .지적이고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책을 읽는다

2. 전문가들의 블로그, 웹사이트를 방문한다.(월부커뮤니티)

3. 월부 강의를 꾸준히 수강한다.

4. 시간과 돈을 현명하게 사용한다(‘시간 기회비용’과 ‘투자된 시간’인지)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105) 뛰어난 사람과 평범한 사람의 차이는 얼마나 많은 시간을 가지고 있는가에 달린 것이 아니라, 그 시간을 어떻게 선택하고, 사용하고, 투자하는가에 달린 것이다.

 


댓글


아웃풑
23. 12. 04. 15:56

강의 후기에 이어 독서후기까지 아주 성실하게 써주셨네요!! 글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