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2025년 최고의 기회 - 부산&대구 비교평가 최고의 투자처 찾는 법
오렌지하늘

안녕하세요.
으으음입니다 :)
최근 1억대 투자금을 가진 사람들이
부산vs대구를 두고 비교하는 고민을
많이 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저도요...)
부산과 대구 모두 지방광역시이지만
지역의 규모가 100만명 이상 차이나고
각 지역 안에도 자치구가 많기 때문에
비교평가를 하기 어렵다고 느꼈었는데요.
월부 '오렌지하늘' 튜터님의
부산 대구 비교평가 특강을
오프라인으로 수강하게 되면서
해당 고민을 말끔히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 강의를 추천하는 이유 ⭐
1. 부산과 대구 지역을 이해할 수 있다.
2. 부산대구 급지를 나누어 위상을 파악할 수 있다.
3.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비교평가 방법을 알 수 있다.
4. 부산대구에서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다.
#부산 16개 #대구 8개
부산광역시와 대구광역시는
각각 16개, 8개의 자치구를 가지고 있어
한 지역을 이해하는 데에도
오랜 시간이 필요한 지역이었습니다.
저도 처음 부산을 임장을 갔을 때,
1개구만 임장하고 부산을 이해하려니
너무 답답하고 어려워서 눈물을 흘...려..ㅆ
(마음으로 엉엉 울었습니다 🥲)
그런데, 오렌지하늘 튜터님의 강의는
이 도합 24개 자치구의 특징과 가치를
한판에 이해시켜주는 강의였습니다.
각 자치구마다 포인트를 잡아주시고
부산, 대구의 권역별 공통점과 차이점을
재밌는 사례와 함께 정리해주신 덕분에
가보지 않은 곳도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1급지~5급지
서울에도 25개의 자치구가 있지만
이해하기 쉽도록 1급지~5급지로 나누어
그 안에서 비교평가가 수월하게 진행됩니다.
지방의 경우는 인구수(수요)로 나누어서
비슷한 규모끼리 비교평가를 하도록 배웠지만
부산(300만), 대구(200만)과 같이
인구규모가 다른 지역끼리의 비교평가는
해도해도 풀리지 않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오렌지하늘 튜터님께서는
부산과 대구의 각 자치구별 가치를 알려주시고
1급지~5급지로 지역의 위상을 정리해주셨습니다.
부산의 A지역은 대구의 B지역과 비슷하다.
와 같이 정리해주신 위상표 덕분에
서울수도권 처럼 묶어서 비교평가하기에
큰 도움이 되는 지표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따라만 하면 #고민종결
최근 투자금 1억을 가진 상태에서
어떤게 더 좋은 단지인지 비교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고민이 참 많았던 것 같습니다.
대구 상급지, 부산 중간급지를 해야할지...
상급지 구축, 하급지 신축을 해야할지...
상급지 59타입, 중간급지 84타입을 할지...
수많은 고민들에 대한 해답을 함께 풀어가며
각 지역 내 위상(급지) > 생활권 > 단지 순서로
비교평가를 함께 진행해보는 시간을 가지고
투자금 1억을 가지고 할 수 있는 고민에 대한
튜터님의 생각까지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튜터님께서 투자 물건을 찾을 때
직접 활용하시는 방법까지도 배워보면서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해준 값진 강의였습니다.
약 5시간 정도의 강의가 마무리 되고
마지막으로 튜터님께서 해주셨던 말씀이
참 기억에 오래 남았던 것 같습니다.
투자 생활을 하면서 힘든 날들이 많고
부산, 대구까지 먼 길을 왔다갔다 하면서
쉽지 않은 나날들을 보내고 있지만
결국 힘들어도 시간은 간다는 말씀이었습니다.
아무것도 안하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
우리가 쏟아붓는 이 시간이 반드시,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만들어 줄 것이라는
튜터님의 따뜻한 진심이 많이 느껴졌습니다.
부산, 대구에서 꼭 좋은 투자 기회 잡겠습니다.
긴 시간 강의 해주신 오렌지하늘 튜터님 감사합니다.
👇 온라인 강의 신청하러 가기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