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후기 [제목]은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으로 표현해보세요! 

2주차 강의에서 가장 와닿았던 부분을 정리해 본다.

  1. 가능성은 한계를 뛰어 넘는다. 사람은 안정을 좋아하지만, 목표를 정하고 나아가려면 반드시 Feat zone(공포지대)를 지나야 한다. 1만시간의  법칙과 같이 다른 미래를 꿈꾼다면 다른 행동을 해야 한다. 매주 20시간투자, 1년 50주투자시 1,000시간, 10년이면 1만시간 달성, 전문가 된다
  2.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통화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아파트 가격은 물가와 연관되어 있다.  자본주의 원리이다. 2015년 통화량 2,000조 25년 통화량 4100조 10년새 2배 증가했고 전세가도 2배 상승함.

     -2005년  서울 평균전세가 평당 541만, 2015년 1069만원,  토와량은 해마다 늘어난다. 앞으로 전세 사는 게 맞느가? 틀리는가? 앞으로 5년뒤 서울 전세가는 3,000만원/평 될것이다

    -아파트건설원가=재료비+노무비+경비(식비등)+토지  이므로 해마다 상승할 수 밖에 없다. 현실 인식하라

    -지난 10년간 한국기업이 잘하여 한국 경상수지가 전세계6위였다. 돈을 많이 벌어왔는 데 나는 그 흐르는 돈에 같이 묻어 갈 수 있었는가? 내 자산이 있어야 같이 묻어갈 수 있는 것임. 기업은 돈을 많이 벌었는 데 내주머니는 비어있다.

  3.  부동산 투자와 야구 경기가 비슷함.  좋은 물건을 보는 선구안과 스트라이크일 때 배팅 나가는 능력 
  4. 투자원칙 5가지 : 저환수원리

    -저평가여부: 같은 가격인데 어디가 더 가치가 있나 따짐. 2개이상을 같이 비교해야 함.

    -환금성: 부동산은 환금성이 않좋으므로 나홀로/3층이하/탑층/세대수 작은 곳은 기피

     아파트>빌라>오피스텔>상가>도시형 생활주택>지식산업센터

    -수익률: 돈많으면 똘똘한 한채 좋은 곳 사면되나 돈 없으면  지방 투자 할수 밖에 없다., 전세금 오르는 곳 사면 투자금 회수도 가능. 무릎이하에서 사는 것이 좋은 타이밍이다.

    -원금보존: 반드시 전세가율을 볼것   적정 전세가율로 서울은 60%, 지방은 80% 그리고 입지독점율을 가져야 한다. 즉 앞으로 2-3년이내 주변 입주물량이 적어야 한다.

    -리스크 관리:시세차익의 리스크는 역전세/대량공급/ 급격한 전세상승이다.

    나의 가장 큰 리스크는 투자에 대한 무지다. 편익을 고려하면 반드시 비용을 치러야 한다. 

     세금이 무서워서 투자를 못하는 것은 말이 않된다.

  5.  미래는 아무도 모른다. 전문가들의 예측을 듣는 것은 시간 낭비다. 

    거시경제 사이클은 예측이 불가하다. 어떤 파도가 올지라도 잘대응하면서 수영을 잘하는 것이다.

    상승할 때 시나리오는 수익을 내는 물거이 내게 있나? 하락할 때 시나리오는 내가 가진 자산이 안전자산인가?

  6. 이상과 같이 강의를 들으며 중요요점을 정리해 보았다. 내게 적용할 부분은 현재 전세로 살고 있는 데 방법을 다 동원해서 자산을 만드는 것이다. 물가는 계속 상승하고 ㅈㄴ세가가 2배씩 상승한다면 감당할 수가 없다. 속히 자산을 만들자   그리고 현재 전고점대비 20% 하락한 매물이 많이 있다고 하셔서 임장을 통하여 앞마당을 많이 만들어 야 겠다고 생각한다.

댓글


부예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