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2025년 4월 최신] NEW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 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월부멘토, 권유디, 양파링, 프메퍼, 주우이

이번 서투기는 메타인지를 명확기 하기로 1주차 조모임때 선언했다.
이번 강의 시작도 나를 돌아보는 내용으로 포문을 열었다.
너 메타인지 하고 있니??라고 나에게 또 한번 자문했다.
투자 범위와 지역은 내가 가지고 있는 앞마당에서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할 것 같다.
앞마당을 더 늘리고 싶지만, 투자에 대한 동력을 잃을 수도 있단 생각이 문득 들었다.
이번 지역은 내 최초의 앞마당이기에 우여곡절도 많았지만, 정말 열정적으로 앞마당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거 같다.
아직도 강의에서 언급되는 단지가 머리속에 떠오른다. 임장을 열심히 했던거 같다.
다만 아쉽다면 가격은 선명하지 않다. 이번 강의를 통해 가격과 입지선호도를 다시한번 리마인드 할 수 있을거라
생각과 내 생각과 양파링과의 견해를 비교해야 겠다는 생각으로 강의를 몰입하면 들었다.
예습을 해서 인지 확실히 단지와 가격이 선명하게 들어왔다.
나의 고민과 강의 주체가 100% 매칭이 되었다. 너무 기대가 되고 동일한 프로세스로
비교평가를 한다면 투자 시 후회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겠지~라는 기대를 걸어본다.
서울 4급지 vs 경기도 4급지(광명/안양/수지)
가치→가격→리스크 라는 프로세스는 이번 임장지 선호도 분석에도 사용하겠지만,
내 앞마당 투자 후보 단지 중에서도
선호도가 비슷한 단지에도 적용해 볼 예정이다.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에 입지/상품/선호도라는 기준을 적어놓고 생각해 보니 보다 선명해 지는 느낌이다.
기존에 가치를 판단할 때는 임장지마다 기준이 조금씩 달랐던거 같다. 앞으로 가치 비교평가는 이번 강의 기준을
적용해서 비교해 볼 예정이다. 기존에는 “저환수원리”라는 기준과 최근 선호도에 집중해서 비교평가를 하려고 노력했는데 추상적인 느낌이 있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선명한 기준을 얻게 된거 같다.
머리를 알지만 말고 이번 임보에는 이 기준을 적용해서 단지평가를 할 것이다.
입지 가치가 강남과의 절대거리, 직장 /교통/학군/환경의 복합적인 영항을 받고, 연식/세대수/브랜드라는 상품가치,
사람들이 어떤 단지를 더 선호할까1? 라는 기준으로 비교평가가 필요하다.
투자금을 고려할 때 부대비용까지 생각해야 한다. 매매가가 높다면 세금 등 부대비용 등이 생각보다
많이 필요하다. 투자금 고려 시 반드시 검토가 필요한 과정이다.
저평가 된 단지가 무조건 좋은 건 아니다. 저가치 단지인지 검토해 볼 필요하다. 싼게 비지떡이다.
경기도 신축 투자를 통해 전세가 상승을 기대하면 다주택 투자자로 나아가고자 한다.
투자 준비 및 투자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더 많은 경험을 쌓고자 한다. 서울 구축 투자를 통해 장기간 보유하는 것은
내 성향에 맞지 않다.
여러번의 투자를 통해 자산을 증식해 나가고 싶다. 투자금이 많지 않지만, 저평가 된 경기도 물건보다
신축의 경기도 물건 투자를 통해 전세금 상승분을 기대하고 그 투자금으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싶다.
한 가지 장점이 특출란 것을 고를 것인가? 보통 이상의 특징을 여러개 같고 있는 지역을 투자할까?
투자금을 고려해야 하겠지만, 참 고민되는 포인트다.
내가 투자하고 싶은 수지구 단지를 언급해 주셔서 기분이 좋았다. 그렇지만, 고민은 된다.
투자금를 생각하면 서울 4급지에서도 투자할 수 있는 단지가 있는데,
반드시 투자를 하기 전에 매물코칭이 필요할 것 같다.
댓글
해자님의 투자를 응원합니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