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열반스쿨 기초반 85기 114조의 이럭키입니다.
지난주 토요일 용인 수지구로 조원 모두 참석하여 분위기임장을 다녀왔습니다. 조원분들과 상의해서 임장하고 싶은 지역과 시간을 정하고 분임루트는 다들 임장경험이 없어서 경력자인 보스킴 조장님이 짜주셨습니다. 2시간(추가 경로 포함 시 3시간) 코스로 최대한 많은 생활권을 보는 경험을 하기 위해 상권 위주로 경로를 설정해서 다녀왔는데, 넘치는 열정으로 쉬지않고 3시간반을 내리 걸었습니다. 조장님이 준비해주신 지도에 보고 느낀 바를 적고 서로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강의 완강 지각생으로서 이 날 강의를 다 듣고 가지 못한게 이제와서 후회가 됩니다😂.. 각설하고 간단하게 임장 후기를 남겨봅니다.
동천역- 상현역까지 이동하는 경로로 동천역을 끼고 동천동과 풍덕천1동 일부 포함한 동천동 생활권, 수지구청역을 중심으로 한 풍덕천1동, 풍덕천2동의 풍덕천동 생활권, 성복역-상현역 사이에 위치한 상현1동, 상현2동, 상현3동의 상현동 생활권으로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2. 풍덕천동 생활권
3. 상현동 생활권
4. 결론
3개의 생활권을 조금 간략하게 분위기임장 해 본 결과 풍덕천동 생활권 > 상현동 생활권 > 동천동 생활권 순으로 선호도가 있을 것을 판단되었다. 동천동 생활권은 강남역과 가장 가까운 동천역을 끼고 생활권이 형성되긴 했지만 생활환경측면에서 절대적인 상가의 수나 업종 등이 다른 두 생활권에 비해 부족하였고, 상현동 생활권은 동천동, 풍덕천동 생활권에 90년대 중반 ~00년대 초반 아파트가 밀집한 것에 비해 10년 정도 내용연수가 낮은 것은 장점이였으나, 풍덕천동 생활권에 비해 상현1, 2동의 역 접근성이 떨어지고 상권이 생활편의시설 위주로 형성되어 있어 입시학원, 병원 등은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다만, 상현3동의 경우 광교 생활권과 근접해있고 역을 가까이 두고 있어 별도로 단지분석이 필요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풍덕천동 생활권의 경우 상가의 수, 업종의 다양성(특히 병원, 학원의 양적, 질적 공급) 역의 접근성 등이 3개의 생활권 중 가장 우위에 있다고 판단되었다.
댓글
이럭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