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 기초반 114조 이럭키] 이래서 다들 수지수지 하는거지??

 

안녕하세요, 열반스쿨 기초반 85기 114조의 이럭키입니다.

지난주 토요일 용인 수지구로 조원 모두 참석하여 분위기임장을 다녀왔습니다. 조원분들과 상의해서 임장하고 싶은 지역과 시간을 정하고 분임루트는 다들 임장경험이 없어서 경력자인 보스킴 조장님이 짜주셨습니다. 2시간(추가 경로 포함 시 3시간) 코스로 최대한 많은 생활권을 보는 경험을 하기 위해 상권 위주로 경로를 설정해서 다녀왔는데, 넘치는 열정으로 쉬지않고 3시간반을 내리 걸었습니다. 조장님이 준비해주신 지도에 보고 느낀 바를 적고 서로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강의 완강 지각생으로서 이 날 강의를 다 듣고 가지 못한게 이제와서 후회가 됩니다😂.. 각설하고 간단하게 임장 후기를 남겨봅니다.

동천역- 상현역까지 이동하는 경로로 동천역을 끼고 동천동과 풍덕천1동 일부 포함한 동천동 생활권, 수지구청역을 중심으로 한 풍덕천1동, 풍덕천2동의 풍덕천동 생활권,  성복역-상현역 사이에 위치한 상현1동, 상현2동, 상현3동의 상현동 생활권으로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1. 동천동 생활권
  • 동천역 바로 앞 두 블럭은 일반상업지역으로 물류센터들이 모여있어  마이너스요인(교통, 환경)이 있고, 주거지역과 역의 거리가 멀어지는 단점이 있음
  • 풍덕천1동과 경계에 있는 중심상권(114개), 생활권 내 신축에 속하는 19년, 20년 준공한 2개 단지 옆에 위치한 신축상권(51개), 재건축추진위원회를 발촉한 단지 1개를 포함한 다세대주택단지 저층에 넓게 분포한 상권(72개)으로 구분
  • 중심상권에서만 입시학원, 소아과를 찾아볼 수 있었고 나머지 상권은 생활편의 상권임을 알 수 있음, 다세대주택단지 상권은 식음료상점이 대부분으로 일반적인 상권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 중심상업지역에서 벗어나면 생활편의시설 접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

 

2. 풍덕천동 생활권

  • 수지구청역을 중심으로 역의 위쪽에 위치한 상권(486개)과 수지구청역을 중심으로한 중심상권(339개)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역 위로 위치한 상권은 아파트들과 근접한 위쪽과 아래의 일반상업지역의 분위기 차이가 큼. 위로는 낮고 노후한 상점들에 생활편의 상권과 입시학원, 산부인과, 산후조리원, 학생복점 등이 있었고, 아래로는 일반상업지역을 중심으로 유흥상가가 집중되어 있음
  • 수지구청역 중심의 상권에는 산부인과 3개 이상, 스터디카페 등이 눈에 띄었고 대로와 떨어진 곳에 다수의 입시학원 상가가 집중되어 있음
  • 생활권 북부에서 남부로 넘어갈수록 거주연령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임
  • 병상을 갖춘 용인수지병원 있음
  • 8학급 규모의 단설 사립유치원이 풍덕천2동 중심에 위치함
  • 상현동과의 경계에 지역난방공사가 위치함

 

3. 상현동 생활권

  • 상현1, 2동과 상현3동의 생활권이 단독주택단지를 경계로 약간 분리되어 있고 상현3동은 광교생활권의 영향이 더 있어보임
  • 성복역사거리에 위치한 이마트와 롯데몰이 생활권과 근접하여 도보로 이용 가능
  • 성복역 주변으로 형성된 상권(이마트, 롯데몰 내 상점 포함 378개)과 주거지에 인접한 생활상권(259개), 상현역중심의 상권(364개)으로 구분됨
  • 성복역 인접 상권에 노인주간보호시설이 다수 있음(성복동 내 은퇴한 자산가들이 거주를 많이 한다는 것이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임-나무위키)
  • 조용한 전용주거지역 분위기이고, 주거지 내에 고르게 생활상권이 고르게 분포함
  • SUV차량이 많이 보이고, 미취학아동~학령기 자녀를 둔 세대의 비율이 많아 보임

 

4. 결론

3개의 생활권을 조금 간략하게 분위기임장 해 본 결과 풍덕천동 생활권 > 상현동 생활권 > 동천동 생활권 순으로 선호도가 있을 것을 판단되었다. 동천동 생활권은 강남역과 가장 가까운 동천역을 끼고 생활권이 형성되긴 했지만 생활환경측면에서 절대적인 상가의 수나 업종 등이 다른 두 생활권에 비해 부족하였고, 상현동 생활권은 동천동, 풍덕천동 생활권에 90년대 중반 ~00년대 초반 아파트가 밀집한 것에 비해 10년 정도 내용연수가 낮은 것은 장점이였으나, 풍덕천동 생활권에 비해 상현1, 2동의 역 접근성이 떨어지고 상권이 생활편의시설 위주로 형성되어 있어 입시학원, 병원 등은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다만, 상현3동의 경우 광교 생활권과 근접해있고 역을 가까이 두고 있어 별도로 단지분석이 필요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풍덕천동 생활권의 경우 상가의 수, 업종의 다양성(특히 병원, 학원의 양적, 질적 공급) 역의 접근성 등이 3개의 생활권 중 가장 우위에 있다고 판단되었다. 

 


댓글


이럭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