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기22기 5 ~ 우리가 4면 오르조 래고야] 투자는 해당시점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 - 3강 후기

  • 25.03.25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안녕하세요, 래고야입니다. 

 

 

마이앤젤 양파링 멘토님과의 3강

눈에 불을 켜고 봤습니다 O_O

 

 

현재 안양시 동안구를 임장중인데

강의에 평촌 지역을 포함해서

경기 남부 지역이 예시로 많이 나와서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서울/수도권 투자는

조금 시간이 더 흐른 뒤에나 가능한 상황이지만

서울4~5급지냐 경기도냐 하는 고민은 

마치 당장 투자하는 사람처럼 하고 있습니다ㅎ_ㅎ

 

 

 

 

 


 

 

서울&경기 비교평가 프로세스 

 

  1. 위치와 접근성 (강남/업무지구)
  2. 강남에서 멀어질수록 상품성 + @ 가 있어야 한다
  3. 선호도 파악을 위해 해당 지역 사람들이 좋아하는 입지가치가 모인 곳은 어디일까 > 임보에 남기기
  4. 현재 시장에서 전고점 대비 -15% 빠진 금액이라면 저평가 된 것 

    → 많이 저평가 된 단지보다 가치가 더 좋은 것 중에서 저평가 된 것을 선순위로 본다

  5. 투자하기 위한 비교평가는 가치 판단이 아니다. 가치>가격>리스크까지 고려해서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 현재 임장지에서 위 내용 생각해보기 

    - 강남 접근성이 좋은 곳은 아무래도 4호선 역세권 단지

    - 강남에서 멀어질수록(비역세권) 학군, 신축/대단지 등의 상품성과 다른 입지가치를 포함해야 함 

    - 동안구의 선호 입지요소는 학군, 연식, 교통, 각 생활권 별로 선호 입지요소가 조금씩 차이가 있다

    - 동안구는 아직 전고점 대비 -15%이상 빠진 단지가 많음. 

       25% 빠진 단지보다 더 가치가 있으면서 -15%빠진 단지가 더 좋은 투자가 될 수 있다

    - 비교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순서. 가치를 먼저 판단한다. 가치가 있으면서 싸고 리스크 감당이 가능한 단지! 

 

 

 

 

서울 4급지 구축 VS 경기도 신축

 

     1. 서울 구축 

      - 1주택 or 2주택 

      - 투자금 회수가 더뎌도 좋은 자산을 보유할 수 있는 사람 → 장기보유 가능 혹은 매매가 상승폭이 더 클 수 있음

      - 가장 좋은 집 자산가치가 있는 곳을 사야 함 

 

     2. 서울 구축 

      - 다주택으로 자산 규모를 늘리고 싶은 사람

      - 전세가 상승/투자금 회수가 중요 → 재투자 가능 ! 

 

  • 다주택자 포지션으로 가고 싶은 나는 전세 상승 분을 받아서 재투자 하는 방법으로! 

    따라서 전세금이 조금씩으로 올라갈 수 있는 신축 선호단지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경기도 구축 VS 경기도 구축 비교

 

지역 안에서 단지의 위상을 알고 그에 따른 가격감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같은 가격, 같은 투자금이라면 ? 

 

단순히 수지 구축, 광명 구축으로 비교하지 말고 어떤 입지와 선호도를 가지는지 따져보기 

 

how? 

수지/평촌/광명 주요 구축 위상 비교 (상승장 최고가) 

 

평형별로 놓고 0.5억 기준 각 해당 단지 지역별 나래비 해보기

단순히 상승장 최고가로만 판단할 수 없지만, 가격을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별표세개

 

 

 


 

 

 

 2017년 튜터님이 평촌 투자가 가능했던 시기와

비슷한 시기가 오고 있습니다. 

 

투자자로서 해야 할 일을 준비하면서

어떤 단지가 기회를 줄지 째려보고 있겠습니다.

 

 

투자는 해당시점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가지고 싶은 단지에 집착하지말고 

서울,경기를 떠나

여전히 덜 오른 가치있는 단지가 무엇인지

비교해서 배운대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결국 하는 것이 중요하다★

 

 

3강 준비해주신 멘토님

감사합니다.

 

 

 

 

 

 

 

 

 

 

 


댓글


래고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