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 직투 강의를 듣고 이번에 월 300 포트폴리오 강의를 들었습니다 :)
주린이지만 미국 직투 강의 후에 (개별주 투자는 하지 않고) SPLG와 MOAT을 조금씩 매수해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월 300 포트폴리오 강의를 듣고 저의 포트폴리오를 중립형으로 구성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연금계좌에서는 납입만 하고 투자는 하지 않은 상태라 이제 각 종목들을 매수하려고 하고 있는데 포폴 구성 시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바쁘시겠지만 고수분들의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
1. 그쵸 투자금액 기준입니다. 2. 월300 포트폴리오의 투자관과 직투 투자관이 일치하신다면 직투에서 구매하셔도 됩니다. 다만 직투에서는 배당소득세가 연 2천만원 넘어가면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이 되는 것을 주의하시면 되겠네요(투자금이 많으신 경우) 3. 아무래도 같은 지수를 추종하더라도 환율이나 괴리율에 따라 조금 다르다 보니, 큰 컨셉에서는 맞아도 조금씩 다를 수 있어서 구분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엑셀로 정리하면 QQQ, K-QQQ이런식으로 ㅎㅎㅎ 관리하시기 나름이라 생각합니다.
좋은정보감사합니다
1. 투자금액 기준입니다. 2. 제가 강의를 이해한 바로는, 또한 아직 초보자이시면(저도 초보자!) 월300강의의 절세계좌 포트폴리오는 연금저축, ISA 등 절세계좌에 적용하시고, 미국직투는 미국직투강의(아마 미주백)에서 강의해주신 포트폴리오를 따라가는게 좋아보입니다. 이 이유는 광금러님께서도 설명하셨는데, 미국직투종목 선정 기준 중에 하나가 “국내에는 상장되어 있지 않은 장기간 안정성과 수익률이 검증된 ETF"였습니다. 즉 국내시장에서는 매수할 수 없는 좋은 ETF라는거죠. 이런 좋은 ETF가 있는데 굳이 미국직투에서 국내시장에서도 투자할 수 있는 ETF를 같이 간다는건 효율이 떨어져 보입니다. 3. 일단 미국직투(미주백)강의 포트폴리오에는 S&P500은 없습니다! SPLG는 추천해 주셨지만, 포트폴리오에는 없고, 그 이유는 현재 트럼프 관세 등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그보다 변동성이 덜한 VIG ETF를 추천해주셨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VIG가 위에서 말씀드린 바로 “국내 시장에서 매수할 수 없는 미국직투에만 있는 좋은 ETF”중 하나입니다. 아직 초보이시다면 일단은 광금러님 각 강의 포트폴리오대로 따로 적용하시고, 향후 다시 상승장 또는 기술주위주의 강세가 지속될 시 리밸런싱 원칙에 따라 VIG에서 SPLG로 점차 이동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