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4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5기 115조 욜로워너비]

  • 23.12.06

제주바다님이 1,2,3주차 강의를 정리해 주신게 복습이 되면서 너무 좋았다.


강의 듣는데서 안주하지 말고 임장하고 투자로 결론내자

지방에서 가치있는 물건을 사고 -> 가치에 맞는 가격이 될 때까지 기다린다.

나의 실력을 믿는다(임장보고서) 가치에 맞는 가격이 될 때 까지 수익을 실현할 수 있다.

지금부터 2년, 지방에서 인생을 바꾸자!!

내가 실력이 있고 확신이 든다면 가격이 오르지 않더라도 불안하지 않을 것이다. 내가 확신을 가지고 투자 할 수

있을 때 까지 실력을 계속 쌓아 나가야 겠다.


1강정리(A지역)

A지역은 입지가 있다는 것이다. 입지 좋은 신축, 구축부터 보고 투자하여야 한다. 현재 동쪽과 서쪽의 신축 가격이 같아진 상태이므로 입지가 좋은 곳을 보고 투자 할 수 있는 기회이다. 그리고 전세가 순식간에 소진되므로(그만큼 수요가 많은 동네) 입지 좋은 구부터 금방 빠져 나간다. 지금부터 트레킹 하여야 겠다!!

(B지역)

절대적 저평가가 된 지역으로 반드시 투자금이 아닌 가치를 우선순위로 해야 되는 지역

절대가 2억원 2천만원으로 투자가 아닌 신축 30평대를 투자하자. why? 나중에 오르는 고점에 차이가 크게 난다

구축 투자금이 적게 들어 고민을 하였던 지역인데 제주바다님의 강의를 듣고 투자 범위가 명확해 졌다.

신축을 투자해야 한다!!! 25년 공급 과다(신문 장유택지, 부산 강서구 택지 분양)하므로 내가 기다리고 감당할 수 있어야 투자 가능하다.


2강정리(C지역)

26년까지 줄어드는 공급으로 투자 가능. 여기도 신축택지부터 그다음 중심지 신축

역시 중소도시는 신축부터!!! 구축 84보다 신축 59 먼저 보자

중소도시의 강의를 들으면서 알게된 것이 무조건 신축투자이다!! 내가 할 수있는 평형대에서 신축투자 명심하자!!


3강정리(D지역)

2024년 역대급 물량이므로 진짜 싼지를 보고 투자해야함

이 지역은 입지가 있음(선호생활권 효자, 지곡 신축, 준구축부터 투자)

(E지역)

2024년 초과공급. 지역 대장이 3억대인 절대적 저평가이다.-> 입지보다 신축

앞마당이 한개 생겼다면 바로 시세트래킹 시작!!

1.지역내 랜드마크 2.생활권별 대장단지 3.생활권별 대표단지(저렴,비싼)

신축/준신축으로 나눠서 트래킹 해보자!!!

D,E지역은 근접해 있지만 입지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학군 때문에 입지가 있는 D지역은 무조건 입지 좋은 곳부터 봐야 겠다.


4강.(F,G지역)

F,G지역은 생소했지만 제주바다님이 구별로 나누어서 자세히 설명해 주셔서 좋았다.

F지역은 최고 좋아하는 동네가 정해져 있었다. 직장, 학군, 퀄리티가 모두 1등인 동네. 그리고 신축 택지를 좋아한다는 것. G지역은 입지보다 신축!!! 이 지역도 선호도에 따라 순위를 매기고 투자 시 순서대로 살펴 보아야 겠다.

1.직장

F,G 종사자수(늘어나고 있다), 대기업이 많다.

F에서도 서북구, G에 흥덕구가 직장의 양과 규모가 크다.

중소도시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데 F,G지역은 늘어나고 있다. 그만큼 수요가 있을 지역이라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도 좋은 애부터 봐야 한다!!!

2.학군

F지역은 불당이 학급당 학생수다 25명이상에 전교생이 2천명이 넘는다.

불당이 원가가 제일 많다. 불당중.

신불당-> 백석-> 성성,두정

G지역은 복대동 솔밭초(30명) 전교생 2천명 정도/서현초, 복대초가 인원이 많다.

복대동, 가경동 특목고를 가장 많이 보낸다.

두 지역 모두 좋은 동네에 학군도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들이 선호할 지역이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3.환경

F지역은 인근 아산 인구때문에 백화점 2개. 마트도 많다.

4.공급

F지역은 23-24년도에 공급이 많다. 하지만 25년부터 훅 줄어든다.

아산 공급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생각하자

G지역은 24년부터 공급 물량이 부족.

그러나 24년부터 27년까지 청주 시내 주요 택지 입주가 매해 진행되서 공급 캘린더로 확인하고 투자시 리스트 없게 해야 겠다. 청주는 세종 물량을 계속 확인해야 함(세종에게 인구를 뺏기고 있음)


또 새롭게 알게 된 것이 공급이 많은 시기와 내 전세 만기가 맞물린다? 이건 딱 그 달만 보는 것이 아니라

전세 만기 시점보다 2-3달 전에 전세를 내놓아야 하는 것을 생각하고 6개월 정도의 여유를 두고 보아야 된다는 것!! 지역별로 공급이 많은 지역이 있으므로 공급이 많은 지역을 볼 때에는 유의해서 보아야 겠다.!!


댓글


삼원홍
23. 12. 06. 20:49

후기 고생 많으셨습니다♡ 오늘도 투자자로 보내는 시간 화이팅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