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지기14기 아파트에 미7 4람들
곰돌곰돌 55 입니다.
지방투자기초반 4강 강의는 A 와 K 중소도시의 투자전략에 대하여 제주바다님이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A지역의 경우 이번에 임장지로 선택한 지역이였기에 지금까지 작성한 임장보고서가 잘 진행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방투자기초반의 마지막강의로 지금까지 강의해주신 지역들을 다시 한 번
정리해주셔서 복습이 저절로 되었습니다.
#1 지방투자의 기준을 잡자.
각 지역의 수요크기, 입지평가, 상품성, 가치판단에 따라 우선순위를 선정하며 신축의 경우 평형과 금액대에 따라
광역시 or 중소도시 중 어디에 투자 할 지 기준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중소도시의 입지
각 지역별로 1등 입지가 명확한 곳과 아닌 곳에 따라 투자 기준이 달라 집니다.
1등 입지가 명확하지 않은 곳은 어떤 곳이든 1등 입지가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급에 따라 영향이 크게 받는
특징이 있습니다.
#3 공급양과 공급위치에 따라 투자 결정
입주물량이 많을 시기에는 투자를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특정 시기에 공급이 적정하다고 하더라고 대단지 입주가
있는 지역이 있을 경우 피할 수 있는 조건의 물건에 투자 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전세 만기 시 입주가 맞물리지 않도록 기간을 잘 설정하여 전세를 내놓을 수 있어야 합니다.
#4 인접지와의 관계
인접 도시의 관계에 따라 도시 특성이 달라 집니다. 인접도시와 시너지를 만들경우 편의 시설 증가 및 도시의 환경
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인접 도시에 인구를 빼앗기는 경우 경쟁을 하게 되어 인접지역 공급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전고점을 기준으로 판단하지 말자!
단지의 전고점이 꼭 현재가 대비 내가 벌 수 있는 금액이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여러가지 시장상황으로 전고점이 덜 오른 가격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교평가를 통해 단지의 가치를 잘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B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