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강의 후기

 

1. 생각 B/M

  • 강의를 레버리지 하는 데 가장 좋은 것 : 강사가 어떤 방식으로 분석하는 지에 집중하라
  • 지방은 첫 째도, 둘 째도 가장 중요한 것 : 어느 것을 사야하고 어느 것을 사지 말아야 하는 지 우선순위를 설정 하는 것 즉 투자 범위를 좁히는 게 중요하다.
  • 지방에서는 인구수가 곧 수요다. 이 것은 공통 사항 : 그 외에 그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찾아야 한다. ex) 단지 상품성, 선호요소 등.. 50만명 이상이라면 기본적으로 수요가 있는 도시라고 생각해야 한다. 단지 한 두개로 좌지우지 되지 않는 힘이 있는 것이다. 같은 금액이라면 인구가 더 많은 곳을 선택하려고 해야 한다. 마지막의 투자 결정!
  • 학군이 약한 지방에서는 매우 선호도가 있는 구축이 아니라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함. 특별히 빼어난 요소가 있어야 함. ex) 특정 학교를 보낼 수 있다, 직장/학군/환경이 모두 빼어난 곳, 전통적인 선호도 지역
  • ㅎㅊ 이라는 생활권이 내가 봤을 때 애매했었는데 광주의 특징을 고려하면 이 것도 굉장히 괜찮은 곳일수도 있겠구나..
  • 소득 수준을 보는 이유 : 가격 상승 폭이 다르기 때문, 다만 지역 전체적인 분위기가 그렇다는 거지 단지마다 모두 똑같은 것은 아님. 따라서 퉁쳐서 보지 말고 단지 마다 각각 보는 게 더 중요하다. 

 

2. B/M

<입지 분석>

  • 직장 : 500인 사업체 수만 아니라 비율을 보자
  • 학군 : 지역 간 비교는 사실 크게 무의미, 해당 지역 내에서 보내고 싶은 학교가 어딘지 파악하는 지가 훨씬 중요함.
  • 환경 : 택지정보 시스템으로 택지를 파악할 수 있구나..
  • 공급 : 앞마당 전수조사 시 3년간 +- 6개월을 같이 보자. 구별 영향을 주는 관계를 파악하자(진담튜터님!) / 실질적으로 이 도시에서 영향을 주는 공급량을 각각 파악해야 한다. 유디님은 각 지방도시마다 어느 정도의 공급량이 영향을 주는 지 다 기준이 있다고 함.!!!

<시세 분석>

  • 이 지역에서 땅의 가치가 큰 지, 작은 지 알 수 있는 방법 : 한국 부동산원 연식별 상승 흐름을 보면 되는 군 + 개별 단지의 상승폭

 


댓글


창식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