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전세물량은 3년 누적을 봐야한다.(소화를 다 못해서 전세가가 회복이 안될 걸 수도 있기 때문)
주변에 공급이 있다면 매수타이밍에 다음과 같은걸 생각해보는건 어떨까?
1)가격조금 더 떨어질때까지 기다려볼 수 있겠다 2)네고를 더 할 수 있겠다 3) 매수 한타이밍 더 쉬어갈수 있겠다.
정말 좋은단지 빼고 지방 소액접근 단지는 전세오르면 매매오른다.
지방투자 입지 우선순위
학군,환경>직장,교통
(커뮤니티를 만들고 싶어하기 때문이기에 정말 중요하구나!!!)
수도권의 1기 신도시가 가지는 느낌이 좋다는걸 버려야겠다. 뇌를 갈아끼우라던데…
<학군>
그 지역의 원탑 학군지가 아니면, 사람들을 이사시킬 수 있는 힘이 크지 않다.
<환경>
사람들이 이 동네를 좋아할까?
-. 1기신도시 같은 느끼 조심해라
사람을 봐라, 차를 봐라
모르는 지역에서 단지별 선호도 파악하는 방법
역시 부사님!!! 또는 현지 주민분들을 레버리지하자!
1. 전화임장해서 동네 제일 좋은 아파트는 어디인지?
(발령받았다고 한다)
2. 커뮤니티 : 맘카페/직방/호갱노노
3. 경험축적 : 단지환경(주변) / 느낌 / 학군
4. 시세변화 : 지난시장에서 가격변화확인(선순위되면 안됨)
댓글
1강 완강 고생하셨습니다!! 분임까지 파이팅입니다!
이사장님 강의후기 보니 복습이 되네요^^ 한 주 수고하셨습니다 ㅎㅎ
지방투자 맞춤형으로 뇌를 갈아끼우는(?) 한 달 보내보아요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