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비오는 하루도 투자자로 생활하는 하루 입니다.
이번이 지방 투자 기초반 두번째 수강인데
아직 전혀 감을 못잡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방의 입지가 수도권과 다르고 가격은 너무 괴리가 커서(너무 싸게 느껴져서)
투자기준을 잘 잡아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1강에서 권유디님 께서 지방투자의 기준을 설명해 주셔서
조금은 알게 된 것 같습니다.
지방투자는 자산을 쌓는게 아니라 돈을 모으기 위해 가는 것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갈 때는 뇌를 갈아끼워라.
지방의 시장을 이해하고 그 기준에 맞는 투자를 해야겠습니다.
지방투자 기준 3가지
지방투자 에서 인구수의 의미를 다시금 알게 되었습니다.
또 어떤 지방에서는 어떤것을 , 다른 지방에서는 이런것을..
선호하는 것이 다 다르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지방은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으니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공감하고 나에게 적용할 점을 찾으라!
난이도 있는 A 지역
수도권에선 말도 안되는 일. ㅇㅇ에선 당연한 일.
권유디님 지난 서투기 강의에서 아무도 보지 않는 지역을 보라고 말씀하신 게 생각나네요
평소에 앞마당으로 생각하지 않은 지역이라 궁금한 것도 있고,
강의를 들으면서는 꽤 어려운 지역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입지분석에서 재밌는 부분도 있었고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었습니다.
지방의 시세를 보면 어리둥절 할 때가 많았는데
이 지역의 시세도 정말… 어렵습니다 ㅜ
이해하려 하지말고 그냥 받아들이라는 말씀이 정말 와 닿는 지역인것 같습니다.
지도로 보면 어려운 지역, 직접 가서 눈으로 보면 알 수 있다는 말씀에
전혀 생각하지 않던 이 지역이 언젠가는 앞마당이 될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강의에서 투자해도 좋은 곳과 투자하면 안되는 곳은 바로 말씀해 주셔서
'아 이곳은 잘못 투자하면 진짜 큰일나겠구나~'
조금 겁도 났습니다.
투자 범위를 좁히는 게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진짜 보수적으로 보아야 할 지역인 것 같습니다.
마지막에 투자범위까지 정해주셔서 가이드로 삼아서 투자에 적용하려고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지 말아야 하는 것을 안사는 것.
나이가 있어서 거리가 있는 지역은 부담이 먼저 되는데
이렇게 지방 앞마당을 한곳씩 늘려가는 재미도 생기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도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적용할 점
지방투자의 기준 정하기.
어떤것을 사는지 보다 사지 말아야 할 단지를 아는 것.
댓글
하루l하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