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행월입니다.
이번 지투기 강의 1강에서는 개인적으로 처음 만나는 !
지역에 대한 인사이트를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강의 초반에 유디튜터님이 말씀해주신 내용 중,
지역에 대해 배우는 것도 좋지만 지역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배워가셨으면 좋겠다라고 하셨는데요
그래서 지역의 개요부터 입지분석, 투자로 바라보는 시각까지
각 요소별로 튜터님이 중요하게 바라보시는 점과,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고자
그부분에 집중하며 들었던 것 같습니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투자에도 적용되는 말이었습니다
해당 지역에 대해 처음이었고,
관심이 없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더 궁금했는데요
정말 매번 강의마다 편견, 선입견 없이 바라봐야한다는 점을 배웠으면서도
나도 모르게 편견을 아직도 가지고 있었구나 싶었고
왜 이 지역은 별로라고 생각했을까? 싶었습니다.
투자자로서 실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편견없이
전국을 바라볼 줄 알아야한다는 점
간과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이번 강의를 들으며
항공뷰 위성지도를 보여주셔서
모르는 지역이었음에도
이미지로 볼 수 있어 이해가 바로 되었는데요
지역의 지형적인 특징 (빈땅, 분지지형)
도시가 확장되는 과정 (원도심 선호도)
학군지 수요 ,
직장의 질, 소득 수준
지방마다 특징들을 뽑아내서
지역별로 다르게 볼 수 있어야 한다는 점도
깨달았습니다.
BM 적용할점
*구축, 부촌, 원도심 선호도 체크
**구축인데 전고가 높게 형성된 곳 = 전통적인 부촌일 확률이 높다.**
>> 부사님께 리체크하기
*상권을 볼 때
모여있기보다는 퍼져있다면,
개수도 의미있지만, 지도에 표시하고 어느지역에 몰려있는지를 보는 것.
→ 퍼져있다면 크게 의미가 없는 것
"내가 진짜 살고 싶은 지역인가?"
생각하며 임장하고 임보쓰기
**공급
지금 가진 앞마당은 공급량이 몇호정도 되어야 전세가가 흔들리는가?
→ 내가 가진 앞마당의 지역별로 수요량을 정리해서 머리에 넣기
(몇세대가 입주하면, 영향이 있겠다 라는걸 바로 알 수 있게)
“아파트가격에 영향을 끼치는 건 결국 사람”
정량적인 요소도 중요하지만
결국 사람.
정성적인 것들을
현장에서 주의깊게 살펴보고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무엇을 좋아하는지
이해하고 공감하며
파악 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유디튜터님 인사이트 넘치는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으로 1주차 후기를 마칩니다 :)
댓글